하나은행, 유로화 커버드본드 발행 대열 합류 [Korean Paper]조달 준비 착수, 내년 프라이싱 전망…주금공·국민은행 이어 세 번째 주자
피혜림 기자공개 2020-10-16 14:24:59
이 기사는 2020년 10월 15일 16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은행이 유로화 이중상환청구권부채권(커버드본드) 발행을 위한 채비에 나섰다. 발행에 성공할 경우 한국주택금융공사와 KB국민은행에 이은 세 번째 주자로 자리매김 한다.하나은행은 이달 주요 증권사에 유로화 커버드본드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송부했다. 16일까지 제안서를 받은 후 주관사단을 낙점하고 본격적인 발행 절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조달 시기는 내년으로 점쳐진다. 커버드본드의 경우 프로그램 설정 등 상당한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 커버드본드는 주택담보대출채권 등 보유자산을 담보(Cover pool)로 발행하기 때문에 관련 절차가 추가된다.
하나은행이 커버드본드를 찍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하나은행은 당초 원화 커버드본드 조달 등도 준비했으나 발행처를 유럽으로 선회했다. 커버드본드 본고장으로 일컬어지는 유럽의 경우 해당 채권에 대한 친숙도가 높다.
국내 이슈어 중 유로화 커버드본드를 발행하는 곳은 한국주택금융공사와 KB국민은행 두 곳이 유일하다. 2018년 한국주택금융공사가 한국물(Korean Paper) 최초로 유로화 커버드본드를 찍은 후 올해 KB국민은행도 발행 대열에 합류했다.
커버드본드의 경우 국제 시장에서 발행사 신용등급 대비 높은 크레딧을 인정받기 때문에 조달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S&P 기준 한국주택금융공사(AA)와 KB국민은행(A+)은 유로화 커버드본드 신용등급은 'AAA'다. 대한민국 정부(AA)보다도 높다.
커버드본드는 발행사 파산 시 담보자산으로 우선 변제된다. 상환 재원이 부족할 경우 다른 자산으로 채무를 갚는다. 주택저당증권(MBS), 자산유동화증권(ABS)과 달리 발행사의 상환 의무를 포함하고 있어 안정성이 높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폴라리스오피스그룹, '밸류업' 주주 우대 서비스 시작
- [i-point]에스넷시스템-에스알, 여수산단 '안전관리 시스템' 도입 추진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동아ST, 100억 가치 방광염 중단…SK바팜 덕 절반 만회
- [인투셀 IPO]58% 불안한 '오버행', 우려 덜어준 '리가켐·광혁건설'
- [i-point]티사이언티픽, 옵스나우와 MOU "보안설루션 경쟁력 강화"
- [Company Watch]'TGV본부 신설' 제이앤티씨, 신사업 '내부 정비'
- [thebell interview]김두영 코스모화학 대표이사 "기술력 충분, 실적 턴어라운드 최우선 과제"
- '500억 베팅' 스틱·에이치에너지, 모햇 태양광 발전소 인수 추진
- [셀트리온 신약 로드맵]숫기 없어도 '논리·전문성' 있다, 서진석이 그리는 전략은
- [thebell interview]엠비디 "기술수출 기반 해외 활로 확장, IPO 계획 이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