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성장금융, 소부장펀드 2차 출자사업 개시 블라인드·프로젝트 투트랙…반도체 부문 신설
김병윤 기자공개 2021-04-01 08:21:50
이 기사는 2021년 03월 31일 19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DB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성장금융)이 지난해 첫선을 보인 '소재·부품·장비(소부장)분야 투자 전용 펀드' 출자사업이 올해도 진행된다. 지난해와 달리 반도체 부문이 신설되면서 위탁 규모도 확대했다.KDB산업은행은 31일 '소부장 분야 투자 전용 펀드(2차)' 위탁운용사 선정계획을 발표했다. 큰 틀은 지난해 출자사업과 유사하다. 크게 블라인드펀드 부문과 프로젝트펀드 부문으로 나뉘며, KDB산업은행이 블라인드펀드 부문을 주관하고 성장금융이 프로젝트펀드 부문을 맡는다. 프로젝트펀드 부문의 경우 위탁운용금액(1000억원) 소진 때까지 수시로 접수·선정하는 형태다.
특히 이번에는 블라인드펀드 부문 내 '반도체' 분야가 신설됐다. 반도체 부문의 위탁사로 선발된 곳은 반도체 소부장 관련 국내 중소·중견 기업에 500억원 이상을, 관련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에 100억원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반도체 부문이 새로 도입되면서 위탁액도 늘었다. 이번 출자사업의 위탁액은 1차(위탁액 2200억원) 대비 900억원 늘어난 3100억원이다. 이 가운데 반도체 부문에 800억원이 투입된다. 위탁사 수의 경우 블라인드펀드 일반 부문이 2개사며, 반도체 부문에는 1개사가 선발된다. 펀드별 최소 결성액은 1000억원이다.
지난해 첫 소부장펀드 출자사업 때는 △SKS PE-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한투PE) △BNW인베스트먼트-IBK기업은행 △킹고투자파트너스-한국투자파트너스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이스트브릿지파트너스 △우리PE-BSK인베스트먼트 △제이씨파트너스 △수앤파트너스 등 총 9곳이 지원했다.
이 가운데 △SKS PE-한투PE △BNW인베스트먼트-IBK기업은행이 위탁사로 뽑혔다. SKS PE-한투PE는 지난해 8월 1304억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었고, 지난해 말 첫 투자처로 2차전지 소재장비 제조사인 제일기공을 낙점했다. 제일기공이 발행하는 상환전환우선주(RCPS) 100억원어치와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BW) 50억원어치를 매입하는 구조다.
이번 소부장펀드 출자사업의 접수는 다음달 21일까지며, 위탁사 선발은 올 5월에 이뤄진다. 펀드 결성 시한은 선정 후 5개월이다. 펀드의 존속기간과 투자기간은 펀드 결성일로부터 각각 10년, 5년 이내다.
PE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소부장 산업과 함께 반도체 부문을 키우려는 의지를 보인 게 이번 출자사업에도 반영됐다"며 "최근 정책 기조에 비춰봤을 때 많은 하우스가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투비소프트, 트리센티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기업 & 아트]글로벌세아의 S2A, 공격적 컬렉션 투자 이목 집중
- [Policy Radar]저축은행, 자산별 차등규제 추진…현장점검·제도개편 '투트랙'
- JB우리캐피탈, 인니 멀티파이낸스 시장 주목…해외 확장 저울질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BNK저축, 적자 속 돋보인 서울·부산 '투트랙' 전략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각양각색' 의장 선임 키워드, '여성·연장자·선임자' 중시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iM·농협 미얀마 법인, 나란히 순익 회복세…성장 전략은 상이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자본규제 '패러다임 시프트'
- 인창개발, 가양동 CJ 공장부지 매입 5년 만에 착공
- 쎄크 창업주의 최종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