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틱인베스트, 인도 농산물 플랫폼에 '베팅' '닌자카트' 운영사 63아이디어스 300억 투자 추진
김경태 기자공개 2021-11-15 06:10:40
이 기사는 2021년 11월 12일 16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와 메인스트리트인베스트먼트가 인도 농산물 플랫폼에 투자한다.12일 PE업계에 따르면 스틱인베스트먼트와 메인스트리트인베스트먼트는 모바일 농산물 도매 플랫폼 '닌자카트(Ninjacart)'를 운영하는 63아이디어스에 투자하기 위한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투자는 63아이디어스가 새롭게 발행할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스틱인베스트먼트와 메인스트리트먼트 양사의 투자금액 합계는 300억원 가량이다. 향후 특수목적법인(SPC)와 프로젝트펀드(PEF) 등을 활용한 구조로 인수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 유치 라운드에는 기존 주주들이 대부분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63아이디어스의 대표적인 기존 투자자로는 미국 월마트가 있다. 이 외에 글로벌 벤처캐피탈(VC)인 퀄컴 벤처스, 타이거 글로벌, 인도 1위 이커머스 업체 플립카트 등이 있다.
스틱인베스트먼트의 경우 지난해 12월에 진행한 시리즈C 후속 투자유치에 1000만달러(한화 약 11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이번에 추가 투자에 나서는 셈이다. 신생 PEF 운용사 메인스트리트인베스트먼트는 신규 투자사로 합류했다.
63아이디어스가 운영하는 닌자카트는 인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둔 B2B 농산물 도매 플랫폼이다. 인도 현지의 농부와 배송기사, 소매상인 등이 모바일을 통해 거래할 수 있다. 사용자들에게 12시간 안에 배송을 완료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투자자들은 인도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국가지만 아직 사회 인프라는 열악하다는 점에서 성장성이 크다고 판단해 투자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과채류 소매시장은 2020년 기준 150조원으로 추산되며, 2030년에는 약 300조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된다.
이 딜에 정통한 관계자는 "이번주 초 해외 투자사들이 텀싯(Term sheet)을 제출했다"며 "조만간 본계약을 체결한 뒤 이르면 연내에 자금 집행 등이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D]수출입은행, 공급망 안정화에 2000억 지원
- [트럼프발 관세전쟁]회사채 시장 영향 제한적…국채금리는 '변수'
- [트럼프발 관세전쟁]금리 상승 압박 확대, 바이오 자금줄 '직격탄'
- [트럼프발 관세전쟁]조단위 조달 앞둔 LG엔솔, 투자자 설득에 총력전
- [트럼프발 관세전쟁]‘기회의 땅’ 이종통화채 불붙을까…호주·대만 ‘거론'
- IPO 제도 개선안, 메자닌 전문 운용사들 '반색'
- [ETF 人사이드]미래에셋 키맨 품는 키움운용, ETF 도약 노린다
- 공모주 재간접펀드 철퇴, '공모가 정상화' 계기될까
- [매니저 퍼포먼스]‘최광욱 키즈’ 류원희, 하이일드로 성공적 데뷔전
- [WM 풍향계]우투증권, '삼성 출신 PB' 수혈 지속…리테일 확장 가속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 단위 매물' HPSP, 예비입찰 '순항'
- 백용호 전 청와대 정책실장, 머니투데이 상임고문에 선임
- 이재용 회장, '딥시크 쇼크' 한복판 2심 선고 '촉각'
- [IR Briefing]삼성전자, HBM '조용한 전진'…반등 내실 다지기
- [IR Briefing]달라진 삼성전자 컨콜, '4년만' CFO 등판·결기 보인 박순철
- [갤럭시 언팩 프리뷰]삼성의 폼팩터 혁신, XR 기기 출격 주목
- [갤럭시 언팩 프리뷰]글로벌 1위 키워드 'AI·라인업 확대'
- [갤럭시 언팩 프리뷰]중국 파상공세에 반도체까지, S25 흥행 '절실'
- 삼성전자 DS부문의 분루
- '조단위 매물' HPSP, 구정 전후 '예비입찰'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