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HDC현산]정몽규 회장, '현대가 40년 원로'에 사태수습 맡겼다이방주 제일알 회장, 비상위원장으로 선임…1969년 현대차 입사한 정세영 회장 보좌관
성상우 기자공개 2022-01-24 07:35:57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1일 17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몽규 HDC 회장이 이방주 제이알투자운용 회장(전 현대산업개발 부회장)에게 긴급 구조 요청을 보냈다. 그룹 전체가 휘청거릴 수 있는 초유의 위기 상황에서 사태를 수습하고 재건을 이끌 인물로 현대산업개발의 시작을 함께했던 최고 원로를 가장 먼저 떠올렸다.이 회장은 23년 전 현대자동차에서 현대산업개발로 옮겨온 정 회장을 따라나온 뒤 공동 대표를 맡아 정 회장 체제의 현산을 일궈낸 1등 공신으로 꼽힌다. 그는 정 회장의 부친인 고 정세영 현대산업개발 명예회장을 보좌해 초기 현대자동차 성장을 이끈 '현대가의 40년 가신'이다.
21일 회사측에 따르면 HDC현산은 '비상안전위원회'의 정식 출범을 준비 중이다. 비상안전위원회를 신설키로 한 결정은 최근 공식 발표했지만 위원회의 구성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위원회의 규모 및 구체적으로 위원 후보를 누구로 할 지 등에 대해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다.
큰 틀에서 정해진 사항은 역대 사장단을 중심으로 범그룹 차원의 위원회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번 광주 화정동 공사현장 붕괴사고의 수습 뿐만 아니라 HDC 그룹에 장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안전시스템 구축 및 안전혁신방안을 수립한다는 방향성이다. 최고안전책임자(CSO) 선임 과정도 위원회가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이방주 회장에게 위원장을 맡겼다는 점이다. 위원회의 세부 구성을 다 마치기도 전에 위원장부터 추대했다. 처음부터 이 회장을 염두에 두고 위원회 신설을 결정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사태로 촉발된 위기 상황 극복을 그룹 최고 원로인 이 회장에게 맡기겠다는 정 회장의 의중이 직접 반영된 조치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현재 정 회장 체제의 HDC그룹을 키워낸 주역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1999년 정몽규 당시 현대자동차 회장이 현대산업개발로 옮겨올 때 함께 나와 현산에 자리 잡았다. 정몽규 회장 취임 첫해(1999년)부터 공동 대표이사를 맡아 현산을 현재 규모로 키워낼 수 있는 기틀을 닦았다.
2006년까지 약 7년간 현산의 대표이사 사장을 맡은 뒤 부회장직에 올랐다. 그로부터 2년 뒤인 2008년 현산을 떠났다. 2008년에 부동산펀드 운용사 제이알투자운용을 세워 현재까지 이끌고 있다.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회장 및 명예회장을 맡은 국내 부동산 시장 전체의 원로이기도 하다.
정 회장이 현산을 품은 첫 해부터 함께한 이 회장은 사실 정세영 명예회장과 인연이 훨씬 깊다.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넷째 동생인 정 명예회장과 보성고, 고려대 동문지간이다. 1969년 당시 정 명예회장이 이끌던 현대차에 입사해 30년간 근무했다.
경제학과 출신의 이 회장은 재무파트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재경본부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친 뒤 1998년에 대표이사직에까지 올랐다. '포니정'이라는 별칭을 들어가며 현대차를 이끈 정 명예회장을 재무라인에서 보좌하는 역할을 한 '정세영의 사람'으로 꼽힌다. 2008년 현산을 떠날 때까지 약 40년간 창업 1세대 오너를 보좌한 '현대가 가신'으로도 불린다. 오너일가를 제외하면 현대그룹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전문경영인이라는 평가도 붙는다.
그룹의 최고 원로이자 정 회장 부자를 수십년간 보좌해 온 인물인 만큼 정 회장에 버금가는 수준의 추진력과 권한을 갖고 위원회를 이끌 전망이다. 정 회장에 대한 여론의 부정적인 시선을 비켜나가면서 그룹 전반에 걸친 안전경영 체질을 바꿔놓을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빌리루빈 신약' 빌릭스, 급성신장손상 치료제 2상 추진
- [i-point]폴라리스오피스그룹, '밸류업' 주주 우대 서비스 시작
- [i-point]에스넷시스템-에스알, 여수산단 '안전관리 시스템' 도입 추진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동아ST, 100억 가치 방광염 중단…SK바팜 덕 절반 만회
- [인투셀 IPO]58% 불안한 '오버행', 우려 덜어준 '리가켐·광혁건설'
- [i-point]티사이언티픽, 옵스나우와 MOU "보안설루션 경쟁력 강화"
- [Company Watch]'TGV본부 신설' 제이앤티씨, 신사업 '내부 정비'
- [thebell interview]김두영 코스모화학 대표이사 "기술력 충분, 실적 턴어라운드 최우선 과제"
- '500억 베팅' 스틱·에이치에너지, 모햇 태양광 발전소 인수 추진
- [셀트리온 신약 로드맵]숫기 없어도 '논리·전문성' 있다, 서진석이 그리는 전략은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폴라리스오피스그룹, '밸류업' 주주 우대 서비스 시작
- [Company Watch]'TGV본부 신설' 제이앤티씨, 신사업 '내부 정비'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i-point]폴라리스오피스그룹, 에듀테크 시장 정조준'
- [i-point]신테카바이오 "자체 AI플랫폼 적용 분야 급속 확대"
- [Company Watch]'가족경영' 원일티엔아이, 이해관계자 리스크 공시 '눈길'
- [i-point]TKENS, 제습제 캐파 증설 "글로벌 최대 전기차업체향 공급 확대 중"
- 제이앤티씨, 오너일가 나란히 자사주 매입 "신사업 자신감"
- [Company Watch]갈 길 바쁜 소룩스, 합병심사 사실상 '원점으로'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서버리스 ‘웹오피스’ GS인증 1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