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BIO USA]삼성바이오로직스, 세포유전자치료제 공장 매물 노린다존림 대표 "자금난 장기화로 인준절차 완료된 공장 싼값에 인수 기회"
샌디에이고(미국)=임정요 기자공개 2022-06-15 08:23:04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4일 22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세포유전자치료제 역량 강화를 위해 인수합병(M&A)를 준비하고 있다. SK와 롯데에 이어 해외 M&A 딜이 성사될 지 시장의 이목이 쏠린다.13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만난 존림 대표는 "경기 침체에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세포유전자치료제 공장들이 잇따라 매물로 나오고 있다"며 "우리는 (타이밍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최근 한국 뿐 아니라 미국 내 IPO 시장도 급격히 얼어붙었으며 기업들의 투자 유치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상황은 2024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2년간 버틸 자금난에 시달리는 회사들이 계속 매물로 나올 경우 가격도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인준절차까지 이미 완료된 공장을 매입한다면 가동할 수 있는 캐파(Capacity)가 바로 늘어나는 만큼M&A 전략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 후 항체의약품 중심 CDMO(위탁 개발 및 생산)로 성장했다. 올해 부분 가동되는 4공장을 포함하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62만 리터로 글로벌 전체 CMO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최근엔 mRNA 유전자치료제 분야로도 확장하고 있다. 아직 세포치료제 생산 능력은 없다.

존림 대표는 세포치료제 생산 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에 대해 "환자 개인별 맞춤형 의약품인 오톨로거스(Autologous) 형태의 치료제는 시장성이 낮다"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알로제닉(Allogeneic) 형태의 치료제라면 수주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FDA 허가를 받은 세포유전자치료제 개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2년 3월 기준 총 23개다. 셀진(BMS) '아베크마', 주노테라퓨틱스(BMS) '브레얀지', 얀센 '카빅티', 바이오벡스(암젠) '임리직', 노바티스 '킴리아'와 '졸겐스마', 피브로셀 테크놀로지 '라비브', 스파크테라퓨틱스 '럭스터나', 베리셀 '마시', 덴드레온 '프로벤지', 엔지반트 테라퓨틱스 '레디믹', 스트라타텍 '스트라타그래프트', 카이트파마 '테카르투스'와 '예스카르타', 그리고 9가지 제대혈 유래 치료제가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