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코 공통분모 찾는 정유·화학]동행 30년 에쓰오일, 속도 내는 샤힌프로젝트에쓰오일 최대주주 AOC…2019년 방한 때 샤힌 프로젝트 발표
김동현 기자공개 2022-11-18 07:41:08
[편집자주]
사우디아라비아의 '탈석유' 프로젝트인 네옴시티 건설을 주도하고 있는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에 기업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우디 국영기업 아람코의 실세인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으로 아람코와 협력관계를 구축한 국내 정유·석유화학 업계의 '탈정유·친환경' 프로젝트가 속도를 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더벨이 국내 정유·석유화학 업계와 아람코의 협력관계를 들여다보며 미래 사업 준비 현황을 점검해본다.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5일 16:5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인 무함마드 빈 살만의 방한을 앞두고 에쓰오일의 석유화학 투자 계획인 '샤힌(Shaheen·매) 프로젝트'에도 관심이 쏠린다. 샤힌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석유화학 생산 비중을 25%까지 끌어올려 기존 정유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하겠다는 목표하에 추진된다.과거 에쓰오일은 2019년 빈 왕세자 방한 당시 샤힌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발표하며 아람코와의 협력을 강화했다. 에쓰오일의 최대주주는 Aramco Overseas Company B.V.(AOC)로, 이 회사는 사우디 국영회사 사우디 아람코의 자회사다. 3년이 지난 지금 에쓰오일은 본격적인 샤힌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이사회 승인을 눈앞에 두고 있다.
◇아람코, 30년 전 지분 인수…지분율 63%의 강한 지배력
아람코와 에쓰오일의 인연은 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6년 쌍용양회공업과 이란국영석유회사(NIOC)가 합작·설립한 한국·이란석유주식회사가 에쓰오일의 모태지만, 1980년 NIOC가 지분을 철수하며 쌍용정유주식회사로 이름을 바꿨다.
AOC는 1991년 신주인수를 통해 쌍용정유 지분 35%를 확보하며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이 시기 들어 쌍용정유는 기존 정유 사업 외에도 석유화학 사업에 본격적으로 투자하며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기반을 다졌다.
정유 사업에서는 고유황 중질유에서 높은 품질의 경질유를 뽑아낼 수 있는 중질유분해탈황시설(BCC)을 1996년부터 가동하기 시작했고, 석유화학 부문에서는 1991년 나프타 개질시설 및 BTX(벤젠·톨루엔·자일렌)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이후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거치며 쌍용정유는 쌍용그룹 계열사에서 제외됐고 2000년에는 사명을 에쓰오일로 변경했다. AOC는 2015년 한진에너지가 보유한 지분 28.4%까지 인수하며 현재 지분율 63%의 강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아람코를 단독 최대주주로 맞이한 2015년부터 매년 아람코의 트레이딩 자회사에 납사, 경유 등을 공급하는 조단위 계약을 체결하며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에쓰오일의 연결 기준 매출 31조8521억원 가운데 20%가 아람코 트레이딩 싱가포르에서 나왔다.
◇7조 투자 앞둔 샤힌프로젝트…FID 승인 목전
에쓰오일은 5조원을 들여 구축한 잔사유 고도화·올레핀 하류(RUC·OCD) 등 복합석유화학시설을 2018년부터 가동하고 있다. 매출의 80% 이상을 담당하는 정유사업 중심의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석유화학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추가로 총 7조원이 투입되는 샤힌프로젝트도 준비 중이다.
샤힌프로젝트는 에틸렌 및 기타 석유화학 원재료를 생산하는 스팀크래커와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등 고부가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올레핀 다운스트림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이 과정에서 아람코의 TC2C(원유를 석유화학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신기술을 적용해 두 회사의 협력 관계를 강조하기도 했다.

실제 에쓰오일은 지난 2019년 빈 살만 왕세자 방한 시기에 맞춰 샤힌프로젝트 협력 계획을 발표하고 복합석유화학시설 준공식을 개최했다. 직전해인 2018년 5조원 규모의 석유화학 2단계 투자계획을 발표했지만, 2019년 그 규모를 7조원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3년 만에 방한하는 빈 살만 왕세자의 일정에 맞춰 에쓰오일이 샤힌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구체화해 다시 한번 발표할지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현재 샤힌프로젝트는 기본설계 작업을 마무리하고 올해 안에 이사회로부터 최종투자결정(FID) 승인받기 위해 준비 중이다. 일각에선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에 맞춰 샤힌 프로젝트와 관련된 이사회 승인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7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투자 규모를 비롯해 자금조달 계획 등은 FID 승인 이후 공개될 예정이다.
에쓰오일은 최근 3분기 경영실적 설명회에서 "미래 석유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석유화학 부문을 25%까지 확대한다는 장기적 성장 전략 하에 원유, 납사 등을 활용해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샤힌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며 "이사회에서 FID 최종 승인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엄주성 차기 대표 "주주·고객·직원 모두에 최선 다할 것"
- 김연수 한컴 대표 데뷔전 "유럽 AI 기업 조만간 인수"
- [ETF 위클리]엇갈린 레버리지·인버스, KB 웃고 삼성 울고
- DL이앤씨, 핵심 신사업법인 카본코 '리더십 공백'
- [다시 반도체의 시간]SK하이닉스, 'HBM리더'가 펼쳐갈 새로운 40년
- [LG이노텍은 지금]'정리의 귀재' 떠나고 '카메라 전문가' 온다
- '11번가 고민' SK, 두산·삼표 갈림길 변수는
- [새판 짜는 아주약품]오너 3세 거침 없는 경영행보, 변화의 중심에 서다
- [신작으로 보는 게임사 터닝포인트]네시삼십삼분, '탈모바일' 포문 열었다
- [K-바이오 클러스터 기행/전남 화순]설립 20년차인 올해가 클러스터 패러다임 전환 원년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로드 투 말레이시아]24시간 돌아가는 공장, SKC·롯데EM의 이유있는 진출
- [Peer Match Up/KCC글라스 vs LX글라스]양호한 재무건전성, 확장과 안정 갈림길
- [2023 더벨 경영전략 포럼]지방정부 승인 필요한 국내기업 중국 철수, 타이밍이 관건
- [Peer Match Up/KCC글라스 vs LX글라스]희비 가른 자동차 유리사업 '유무'
- [CFO Change]투자 컨트롤타워 ㈜LS, 이태호 신임 CFO 관리 특명
- 그룹 이차전지 선봉 LS엠앤엠, 심현석 CFO 투입
- [지배구조 분석/예스코홀딩스]투자지주사 정체성 굳히기 뒷받침하는 한성피씨
- [Peer Match Up/KCC글라스 vs LX글라스]오너십 vs 전문경영...상반된 경영체제
- [Peer Match Up/KCC글라스 vs LX글라스]변화하는 지배구조, 새국면 맞은 35년 양강 체제
- [캐시플로 모니터]메마른 예스코 현금자산, 3개년 설비투자 지연 불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