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바뀌는 신한지주, 부문제 해체…매트릭스 조직 흩어진다 자산관리·퇴직연금 등 각 계열사 본부 주도 체제로 변경 추진
이돈섭 기자공개 2022-12-19 09:00:37
이 기사는 2022년 12월 16일 14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금융그룹이 2012년부터 10여 년간 운용해온 부문제를 해체키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자산관리(WM)와 퇴직연금 등 지주 단위 매트릭스 조직은 신한은행과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 등 각 그룹 계열사 본부 조직으로 흩어질 것이 유력해 보인다.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은 연말까지 부문제 폐지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연말 조직 개편 과정에 반영돼 매트릭스 조직 대부분이 해체될 전망이다. 그룹 계열사들은 각자 사업 본부를 설치, 담당 임원을 선임해 사업을 영위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글로벌투자은행(GIB) 사업그룹은 현 부문 체제를 그대로 유지할 공산이 높지만 사업 영역은 축소될 전망이다. 신한금융그룹은 2012년 자산관리와 기업투자 부문 조직 신설을 시작으로 현재 퇴직연금과 글로벌사업 등 분야에서 부문제를 운영하고 있다.
신한금융그룹 관계자는 "지주 차원에서 현 부문제를 어떻게 하면 심층적으로 잘 소화할 수 있을까 고민한 결과"라며 "각 부문장과 주요 계열사 임원들 사이에선 이미 컨센서스로 굳어진 상태로, 이에 맞춰 연말 조직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라임 CI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당시 진옥동 행장과 조용병 회장에 라임 CI 펀드 환매중단 사태 관련 불완전판매를 문제삼아 징계 조치를 내리는 과정에서 신한지주 매트릭스 조직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다.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신한은행이 전국 단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영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신한투자증권과 신한라이프 등 다른 계열사들은 상품 제공자 역할에 그친다는 지적이 있었다"면서 "조용병 회장 재임 시기 꾸준히 논의돼 왔던 사안"이라고 전했다.
최근 진옥동 신한은행장이 회장후보추천위원회에서 차기 신한지주 회장으로 내정되면서 부문제 폐지를 단행할 수 있는 동력도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조용병 회장 체제에서 '원(One)신한'을 기치로 운영해온 부문제 이면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라는 뜻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회장이 선임되는 과정에서 일정 규모의 조직 개편은 불가피하다"며 "그동안 신한금융그룹이 부문제를 폐지하면 다른 금융그룹도 매트릭스 조직의 효율성을 다시 한번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한미약품 분쟁 여파 극복할까…반등 노리는 김태윤 사외이사
- [thebell interview]"자본시장법 개정이 현실적…현 상법 체계 이상 없다"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퓨처엠에서 '-29%'…김원용 사외이사의 쓴웃음
- [thebell interview]"상법 개정안은 자본시장 리트머스 시험지"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판사 출신 김태희 사외이사, 에스엠 성장에 통큰 베팅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현대차 유진 오 사외이사, 연평균 5% 수익률 기록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연평균 2%…운용업계 대부 정찬형 사외이사 성적표
- [2025 theBoard Forum]"밸류업 핵심은 이사회…대주주-일반주주 이해 맞춰야"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홀딩스 손성규 사외이사 상속 지분 포함 5배 수익
- 상법 개정안 논쟁의 순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