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부재 고민 하이운용, 새 대표로 변화 바람 부나 하나UBS운용 관리본부장 출신 선임…운용 성과 관심
이돈섭 기자공개 2023-01-10 08:13:23
이 기사는 2023년 01월 05일 14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이자산운용이 신임 대표를 선임하고 새로운 경영 체제를 꾸렸다.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된 사공경렬 전 하나UBS자산운용 관리본부장(사진)은 취임일성에서 상품 경쟁력과 운용 경쟁력을 강조했다. 국내 자산운용업계를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은 여전히 개선세가 요한 상황. 사공 신임 대표가 그리는 청사진에 업계 관심이 쏠린다.◇사공 신임 대표 "하이운용 새로운 도약" 강조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DGB금융그룹 계열사 하이운용은 지난달 30일 임시이사회와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사공경렬 전 하나UBS운용 관리본부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사공 대표 임기는 올해 1월부터 2년이다. DGB금융지주는 지난달 그룹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 사공 대표를 하이운용 대표로 추천한 바 있다.
1962년생인 사공 대표는 1989년 대한투자신탁에 입사한 이후 대한투자신탁운용을 거쳐 하나UBS자산운용에 적을 뒀다. 하나UBS운용에서 마케팅본부장과 전략 및 실물자산본부장, 관리본부장직 등을 역임했다. 자산운용업계에서 30년 이상 경력을 쌓으며 국내 운용업계 손꼽히는 베테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를 위해 ▲상품경쟁력 제고 ▲운용경쟁력 제고 ▲대체투자펀드 영업기반 확대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One Firm, One DGB' 문화 정착 등 사항에 중점을 두겠다는 방침이다. 3일 현재 하이운용의 운용규모(설정원본+계약금액)는 10조5688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채권형 펀드 규모가 4조7147억원(44.6%)으로 비중이 가장 컸고 주식형 펀드가 3조3012억원(31.2%)으로 뒤를 이었다. 2021년 블랙록자산운용 리테일 부문을 합병해 현재 4078억원 규모 재간접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하이운용은 2016년 DGB금융그룹 산하에 편입돼 2020년 종합자산운용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운용 성과 지지부진, 자취 감춘 신사업
하지만 사공 대표가 마주하고 있는 운용업계 환경은 썩 좋지 않다. 매크로 환경 변화 여파에 국내외 증시가 부진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면서 국내 펀드 비즈니스도 주춤하고 있는 상황.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국내채권, 머니마켓, 대체투자 등 대부분 국내 펀드 유형에서 연초 이후 자금 유출세가 뚜렷했다.
하이공모주플러스 펀드의 경우 최근 1년 3.8% 수준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설정액은 2406억원에서 1395억원으로 거의 반토막으로 줄어들었다. 박정홍 전 대표가 이관을 주도한 해외 재간접 펀드에서도 자금 유출세가 뚜렷해 이 기간 재간접 펀드 전체 규모는 28.7% 쪼그라들었다.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낮은 거래 비용과 거래 용이성을 전면에 내세워 빠르게 파이를 키워가는 가운데 하이운용은 ETF 라인업도 갖추지 않은 상황. 박 전 대표는 과거 재임 당시 더벨 대면 인터뷰에서 ETF 사업 진출보다는 내부 조직을 구축하고 운용 역량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경영계획을 밝혔다.
하이운용은 ETF 출시 대안으로 2020년 하이글로벌리얼인컴EMP 펀드를 선보였지만 설정 후 수익률은 6.6%로 시장 지수(MSCI ACWI 50%+KIS 종합1년지수 50%) 13.8%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고, 지난해 초 선보인 하이DNDN에버그린EMP 펀드는 누적 수익률이 마이너스 8.7%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타깃데이트펀드(TDF) 등 자산배분전략 펀드 운용실적이 길지 않은 탓에 지난해 퇴직연금 사업자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에 단 한 개의 펀드도 편입시키지 못했다. '하이월드광업주자'와 '하이월드에너지' 등 일부 해외 재간접 펀드가 원자재 가격 상승 추이에 힘입어 최근 1년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한미약품 분쟁 여파 극복할까…반등 노리는 김태윤 사외이사
- [thebell interview]"자본시장법 개정이 현실적…현 상법 체계 이상 없다"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퓨처엠에서 '-29%'…김원용 사외이사의 쓴웃음
- [thebell interview]"상법 개정안은 자본시장 리트머스 시험지"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판사 출신 김태희 사외이사, 에스엠 성장에 통큰 베팅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현대차 유진 오 사외이사, 연평균 5% 수익률 기록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연평균 2%…운용업계 대부 정찬형 사외이사 성적표
- [2025 theBoard Forum]"밸류업 핵심은 이사회…대주주-일반주주 이해 맞춰야"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홀딩스 손성규 사외이사 상속 지분 포함 5배 수익
- 상법 개정안 논쟁의 순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