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오너일가' 대표 맞은 한솔제지, 글로벌 전문성 살아날까 조동길 회장 '맏사위' 한경록 CEO…외국계 금융사 거친 글로벌통 평가

김동현 기자공개 2024-11-04 09:02:52

이 기사는 2024년 11월 01일 11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솔제지가 2015년 분할·신설 이후 처음으로 오너일가의 대표이사를 맞이한다. 조동길 한솔그룹 회장의 맏사위인 한경록 인쇄·감열지 사업본부장(부사장)이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내부적으로 글로벌 전문성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는 만큼 한솔제지는 한 신임대표의 주도 아래 해외사업을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 작업에 돌입할 전망이다.

1일 한솔그룹은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한솔제지 신임 대표이사에 한 부사장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한 신임대표는 조 회장의 맏사위이자 현재 그룹 지주사 한솔홀딩스의 사업지원담당을 맡는 조성민 부사장의 매형이다. 오너일가가 한솔제지 대표를 맡는 것은 지주사 출범 후 처음이다.

2015년 1월 한솔제지는 존속 지주사 한솔홀딩스와 신설 사업회사 한솔제지로 분할했다. 한솔제지 아래 있던 한솔테크닉스, 한솔로지스틱스, 한솔홈데코 등이 한솔제지와 함께 한솔홀딩스 산하로 들어갔다. 한솔제지 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렸던 조 회장은 지주 체제 출범 후 한솔홀딩스 사내이사로만 활동했다. 신설 한솔제지는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됐다.

한 신임대표가 한솔그룹에 합류한 시점도 이때와 맞물린다. 1979년생인 한 신임대표는 서울대 경제학과, 카네기멜론대 금융공학 석사를 마치고 외국계 금융사, 한국투자공사 등 주로 글로벌 금융·투자 이력을 쌓았다.



한 대표는 2014년 12월 한솔제지의 전략·마케팅 담당으로 합류했다. 3년 뒤에 미국법인(HAI) 법인장으로 이동했다. 한솔그룹에서도 그동안 쌓은 글로벌 경력을 살려 전략·마케팅 및 글로벌 사업을 담당했다. 2022년 1월에는 해외 영업을 비롯한 전체 사업본부를 이끄는 인쇄·감열지 사업본부장을 맡다가 이번에 신임 대표로 내정됐다.

현재 한솔제지는 계속해서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다. 2018~2019년 1000억원대 영업이익을 유지하다 2020년부터는 그 밑을 맴돌고 있다. 2022년 한차례 일시 반등하며 2조4500억원대 매출과 1302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으나 당시에는 코로나19 특수 상황이었다. 지난해와 올해 3분기(누적 기준)에는 영업이익률이 최근 10년 사이 최저치인 2.1%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수익성 반등이 필요한 한솔제지가 글로벌 전문가의 내정을 통해 돌파구를 찾는 모습이다. 한 대표가 미국법인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매출은 2000억원대에 머물긴 했으나 순이익 자체는 2배 이상 오르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현재 신사업인 환경사업을 제외한 제지부문의 매출 가운데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이 조금 넘는 53% 수준이다.

한 대표의 사내이사 선임의 건이 내년 주주총회에서 승인이 나고 조동길 회장이 그대로 한솔제지에서 자리를 지킨다면 한솔제지 이사회는 두명의 오너일가가 나란히 활동하는 곳이 된다. 조 회장은 2021년 3월 한솔제지 사내이사로 복귀한 이후 한차례 연임을 거쳐 지금까지 사내이사직을 수행 중이다.

현재 조 회장의 장남 조성민 부사장이 한솔홀딩스에 재직 중이긴 하나 아직 이사회에는 진입하지 못한 상황이다. 한솔그룹 오너가가 나란히 이사회에서 활동한 사례는 고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이 생전에 아들들(조동혁 한솔케미칼 회장·조동길 회장)과 함께 활동하던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