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동호 우리금융캐피탈 대표, 신용리스크 관리 체계 재정비 신용RWA 산출 시스템 구축 추진…채권관리모형도 고도화
김경찬 기자공개 2025-02-25 10:49:06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1일 10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동호 우리금융캐피탈 대표가 리스크관리 시스템 정비에 돌입한다. 기 대표가 취임 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신용RWA(위험가중자산) 산출 시스템을 구축하고 채권관리모형 고도화에도 나선다.이는 기동호 대표가 4대 중점 추진전략으로 제시한 리스크관리와 내부통제 강화 일환이다. 우리금융캐피탈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핀셋전략으로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목표 RoRWA 준수 위한 선제적 리스크관리 기반 다져
우리금융캐피탈은 최근 신용RWA 산출 시스템 구축 사업을 위한 입찰 공고를 냈다. 신용RWA 산출에 대한 정합성을 개선하고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우리금융캐피탈 관계자는 "목표 위험가중자산이익률(RoRWA)을 준수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리스크관리 기반을 다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본적정성을 제고하기 위함도 있다. 자본적정성 지표인 조정자기자본비율은 지난해 9월말 기준 13.98%로 규제 비율인 7%를 크게 웃돌고 있다. 부동산PF 등 위험자산이 줄면서 자본적정성 지표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꾸준히 자산이 성장하고 있어 RWA 관리 중요성도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금융사들은 대출자산 유형에 따라 위험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다. 정교한 RWA 산출작업을 위해 데이터 정합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우리금융캐피탈은 관련 시스템을 구축해 데이터 산출 주기를 단축시키며 수시로 신용리스크를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향후 위험가중치가 낮은 자산 위주로 구성하며 질적 성장도 기대할 수 있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채권관리모형 고도화 사업에도 착수했다. 앞서 우리금융캐피탈은 2015년에 채권관리모형을 자체 개발했다. 우리금융캐피탈 관계자는 "이번 고도화 작업은 신용등급별 특성을 반영해 채권관리모형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지급 수수료에 대한 적정성도 개선하겠다는 목표다. 재개발하는 채권관리모형에는 머신러닝 기술 등이 도입될 전망이다.
◇기동호 대표의 리스크관리 강화 의지 엿보여

기업금융 강화 의지도 내비치고 있어 이번 시스템 구축이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자동차금융 위주의 사업 구조를 지니고 있다. 사업 포트폴리오 비중을 보면 자동차금융이 50%, 기업금융은 30%, 개인금융이 20%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우리금융캐피탈이 부동산PF 신규 취급을 줄이면서 기업금융 자산 규모도 지속 줄어들고 있다.
기업금융 강화는 그룹 차원에서 우리금융캐피탈에 주문한 과제다. IB와 기업금융 전문성을 지닌 기동호 대표를 발탁한 이유이기도 하다. 올해는 기업금융에 대한 집중 공략이 예상된다. 기 대표는 자동차금융과 기업금융을 양대 축으로 삼고 수익구조를 다변화하는 영업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톱티어 캐피탈사'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다시 돌아온 초록뱀 그룹]전방위 영토확장, 이번엔 가상자산 간접투자 단행
- 'EUV PR 국산화 큰별' 이부섭 동진쎄미켐 회장 별세
- [Red & Blue]한빛레이저, 로봇 배터리에 유리기판까지 '겹호재'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DGB금융, CET1 개선 'RWA 리밸런싱'에 달렸다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부실 원인 지목된 '성과·온정주의' 수술대 올린다
- [새마을금고 생크션 리스크]충북·경기·전북 지역금고 10곳 중 1곳, 법·규정 '위반'
- 두산가 5세 '경영 수업' 속도...박상수 두산밥캣, 박상우 ㈜두산행
- '또 불거진' 한국GM 철수설, 현대차 손잡고 불식시킨다
- [배당정책 리뷰]현대글로비스, 무상증자 후 첫 배당…'배당성향 25%' 벽 넘었다
- [i-point]채비, 미국 윌리엄슨 카운티 경제개발청과 LOI 체결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동호 우리금융캐피탈 대표, 신용리스크 관리 체계 재정비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PF 리스크 확대, 리테일 대세 전환…JB우리캐피탈 '약진'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반등 예열 완료…3년 만에 흑자 전환 자신하는 이유는
- NH농협캐피탈, 미래 성장 이끌 '키맨'은 박정균 부사장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대주주 변경된 에이캐피탈…경영 정상화는 언제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배당잔치 옛말…부진한 경영실적에 현금배당 중단
- [thebell interview]"M캐피탈, 새마을금고와 시너지 통한 성장 나선다"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모기업 임원 감소세…그룹 시선은 인도네시아로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최성욱 JT친애저축 대표, 그룹 신임 속 10년째 대표직 유지
- '적자 전환' DB캐피탈, 유증 통해 유동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