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회추위·선관위 구성, 회장 선임 절차 본격 '돌입'이르면 4월 초 총회서 차기 회장 선출…하마평 감감, 오화경 회장 단독 추천 가능성도

유정화 기자공개 2025-02-25 10:50:56

[편집자주]

제20대 저축은행중앙회장을 뽑는 선거 레이스가 시작됐다. 저축은행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확대와 소비시장 경색으로 인한 차주 상환능력 저하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탄핵정국 속 정치적 불확실성마저 확대되면서 업권의 구심점 역할을 할 차기 회장 자리에 시선이 쏠린다. 더벨은 3년간 저축은행중앙회를 이끌 차기 회장 인선 절차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1일 07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저축은행중앙회가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와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를 구성했다. 후보자 등록 일정, 선임 방식 등은 추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통상 선거일 기준 40일 전에 회추위·선관위가 구성되는 만큼 이르면 4월 초 차기 회장이 가려질 전망이다.

당초 탄핵 정국 속 마땅한 후보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차기 회장 선일 일정이 장기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이런 상황 속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시작되면서 오화경 현 저축은행중앙회장(사진)의 연임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회추위 7인·선관위 5인, 구성원은 비공개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 이사회는 21일 3시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차기 회추위 구성 안건을 의결했다. 선관위도 5인으로 구성하도록 했다. 이날 이사회에는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을 비롯해 이사진 11명이 참석했다.

회추위 구성원은 공개되지 않았다.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다. 기존 저축은행중앙회 회추위는 각 지역권역을 총괄하는 지부장 2명, 중앙회 이사사 대표 2명, 사외이사 2명, 전임 회장 등 7명으로 구성됐다.

전임 회장 자리에는 전직 중앙회장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연임 도전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한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회추위는 후보자 등록을 받아 적격성을 따져 총회에 추천하는 역할을 하는데, 후보자에 등록할 인물이 회추위에 포함되는 게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봤을 것"이라고 말했다.

회추위와 선관위는 추후 선거 일정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이사회와 당국 간 조율 과정을 밟고 차기 회장을 선출할 총회에 79개 저축은행 대표가 모여야 하기 때문에 해서 당장 일정을 확정 짓기 어려웠던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저축은행중앙화는 통상 선거일 기준 40일 전 회추위·선관위를 구성한 만큼 이르면 4월 초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선거일 14일전까지 입후보자를 공고하고 선거 당일 79개 중앙회 회원을 모아 총회를 열어 투표한 뒤 당선자를 가린다.

◇탄핵정국 속 36년 만 연임 가능성 커져

오화경 현 회장 대항마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어 현재까지는 오 회장의 연임에 무게가 실린다. 단독 후보로 추천될 가능성도 있다. 탄핵정국이다 보니 관 출신 후보 지원자가 없고, 저축은행이 해결할 과제가 산적한 만큼 선뜻 중앙회장에 지원하는 민간 출신 인물도 많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 회장이 연임에 성공할 경우 명동근 5·6대 저축은행중앙회장 이후 36년 만에 연임 기록을 잇게 된다. 저축은행중앙회 출범 이후 회장이 연임한 사례는 역대 16명의 회장 중 최병일 회장(임기 1975~1981년)과 명동근 회장(임기 1983~1989년) 등 2명에 불과하다. 저축은행중앙회장은 규정상 횟수 제한 없이 연임이 가능하다.

오 회장에 대한 업계 평판도 우호적이다. 임기 동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79개 저축은행 대표는 물론 금융당국과 적극적으로 소통했다는 평가다. 가령 저축은행들이 지난 2023년 대규모 순손실을 기록하자 오 회장이 이례적으로 실적 설명회를 개최해 시장의 우려를 축소한 바 있다.

올해 최우선 목표로 저축은행 자산건전성 제고를 꼽았다. 오 회장은 신년사에서 “저축은행 자산건전성 제고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하며 경·공매 지원, 공동매각 지원, 부실채권(NPL) 회사 설립 등을 건전성 제고 방안으로 제시했다. 20일 열린 이사회에선 NPL 자회사 설립, 3차 공동펀드 조성 등 안건도 논의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