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준신위 1년, 경영진 모럴해저드 '급한 불 껐다' 위원회 임기 올해 끝…남은 기간 준법 체제 이식 '집중'
노윤주 기자공개 2025-03-07 08:48:25
이 기사는 2025년 03월 06일 13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이하 준신위)가 출범 1년을 맞았다. 이 기간 김범수 창업자 사법리스크 등 카카오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됐다. 다만 준신위는 주가 연동 성과보상체계, 경영진 선임 테이블 구축 등 성과를 이뤘다.물론 아직 카카오가 시장 신뢰를 완벽히 회복했다 말하긴 어렵다. 이에 준신위는 올해도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지난해는 급한 불을 끄는 시기였다면 올해는 준법시스템 고도화 등 체제 다지기에 집중하기로 했다.
◇처리 안건 97개 달해…BCG 만나 조언 구하기도
카카오 준신위는 최근 연례보고서를 공개하며 그간 활동 내용을 점검했다. 1년간 해결이 시급한 과제들을 먼저 처리했다. 출범 두 달 뒤인 지난해 2월 책임경영, 윤리적 리더십, 사회적 신뢰 회복이라는 3대 권고안을 마련했고 그 다음 달에는 경영진 선임 절차 수립을 제안했다.
또 경영활동과 이사회 안건을 사전에 검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본사와 계열사가 준신위 권고안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2024년 6월 계열사 중간보고 후 후속 조치를 추가 제안하고 올해 1월 정기회의에서 최종 이행 현황 보고를 받았다. 그 과정에서 총 22회 정기 회의와 소위원회 회의를 진행했다. 처리한 안건은 97개다.

작년 11월에는 투자책임을 높이고 감사 실효성을 보장해야 한다며 '투자 및 감사 관련 준칙'도 제정했다. 그간 카카오는 문어발식 인수·확장 비판을 받아 왔다. 또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김범수 창업자가 주가조작 혐의까지 받게 되자 문제 재발을 막기 위한 조치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보고서에서 카카오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컨설팅을 받았던 사유도 공개됐다. 작년 5월 카카오가 BCG와 접촉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계열사 정리를 위한 작업을 본격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었다.
준신위는 보고서에서 '준법시스템 소위원회가 BCG 전문가를 초청해 기업 경영진의 전문성과 윤리성 제고 방안에 대해 들었다'고 밝혔다. 카카오 경영진 선임 테이블의 운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절차였고 다른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의견을 듣고 카카오의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경영진 선임·보상 시스템 구축 완료…신뢰 회복 '1년 더'
준신위 제안 중 가장 빠르게 이행이 확인된 건 경영진 성과보상 체계 개선이다. 준신위는 경영진에게 성과급과 주식보상에 관한 합리적 기준을 정하라고 권고했다. 이에 카카오는 정신아 대표 취임 후 대표이사 보상 방식 방향을 재설정했다. 정 대표 연봉 60%에 달하는 성과급을 3개년 주주수익률에 연동해 지급한다. 단기성과급은 당해 사업연도 주주수익률을 바탕으로 결정한다.
또 경영진의 주식보상 매도를 강하게 통제하기 시작했다. 카카오는 계열사 전임 경영진이 기업 상장 후 보상으로 받았던 주식을 시장에 매도해 도덕적해이 논란을 겪은 바 있다. 이에 준신위는 신규 IPO를 최소화하고 계열사 신규 상장 후 임원은 1년, 대표이사는 2년간 주식을 매도할 수 없는 규정을 마련했다.

올해 주요 아젠다는 △준법시스템 고도화 △사회적 신뢰 강화 △플랫폼 업계 준법경영 체계 마련 등 세 가지로 정했다. 큰 틀에서는 작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계열사가 개선안을 이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소상공인과의 스킨십을 늘려 시장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지난해에는 경영진 리스크를 해결하는 데 더 큰 비중을 뒀다면, 올해는 시행 1년을 맞은 준법시스템 평가지표를 고도화해 본사와 계열사가 준법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준신위 1년 활동에 대해 "싹이 트고 줄기를 뻗어 나무가 되려면 아마 시간이 조금 더 걸릴 수도 있다"라며 "하지만 포기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목표에 이르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카카오 준신위 관계자는 "일단 이번 준신위 위원단 임기는 2년이기 때문에 올해까지 이어진다"며 "이후 어떤 형태로 운영될지는 추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해진의 복귀, 네이버의 큰 그림]포시마크로 보여준 '빅딜' 성과…글로벌 기업 '한발짝'
- '카이아 살리기' 카카오, VC에 보유 코인 양도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빗썸, 대기업집단 선정…'이정훈 총수' 지배구조 확립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SKB, IPTV 초개인화 총력…TV 켤 이유 만든다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방향 다른 SKB, 오리지널 대신 '편의성'에 투자
- [Policy Radar]원화 코인거래소, 현장검사 마무리 수순…수리는 '험로'
- SK스퀘어, 'TGC 활용' 해외 반도체·AI 기업 투자
- KT, 멀티클라우드 MSP 사업 본격화 '수익 개선 도전'
-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상호 제휴 5년만에 결정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홍범식호 '1호 분사' 대상 스튜디오X+U, 확장 전략 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