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하나금융에겐 우리금융보다 외환은행" 애널리스트 87% "외환은행이 적합"·'양수겸장' 해석도

김현동 기자공개 2010-11-18 15:22:19

이 기사는 2010년 11월 18일 15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금융지주가 외환은행 인수를 공식 선언한 가운데, 전문 분석가들은 우리금융보다는 외환은행 인수가 하나금융에 보다 적합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18일 증권사와 신용평가회사의 은행담당 애널리스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메일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2.5%(5명)은 하나금융이 외환은행을 선택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 8명 가운데 3명(37.5%)는 '답하기 어렵다'고 했다.

img1.gif

자산규모만 따지면 우리금융(332조 3000억원)을 인수하는 것이 유리하겠지만,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외환은행이 낫다는 이유에서다.

하나금융(207조 9370억원)이 우리금융과 합병할 경우, 총자산 540조 2370억원의 초대형 은행이 탄생하게 된다. 올 9월말 현재 KB금융지주와 신한지주의 그룹 총자산(신탁 및 AUM포함)은 각각 329조 7000억원, 310조 7770억원이다.

img2.gif

A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국내 대출시장의 성장성이 둔화돼 있어 하나금융은 자체 성장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우리금융 M&A는 규모 면에서는 장점이 있겠지만 자산의 질이나 인수자금 조달에 상당한 부담이 따를 것"이라고 답했다.

B애널리스트는 "인수대금 부담이나 자산규모를 떠나서 우리금융은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M&A 후 규모를 키운다고 해도 실익이 없다"면서 "이에 비해 외환은행은 외환과 무역금융 부문에서의 경쟁력은 물론이고 해외 네트워크, 인력의 질 등이 우수하다"고 말했다.

대출자산 구성만 보면,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의 조합도 나쁘지 않다. 우리금융은 총여신에서 기업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64%에 이르고, 가계 비중은 33%에 그치고 있다. 이에 비해 하나금융은 가계와 기업 비중이 각각 54%, 45%로 보완이 가능한 조합이다.

하지만 자산의 질이다. 우리금융의 은행부문 차주별 자산건전성을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여신에서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각각 49%, 60%에 이른다.

상대적으로 외환은행은 규모는 작지만, 자산건전성이 뛰어난 편이다. 올 9월말 현재 우리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3.85%에 달하지만, 외환은행은 1.44%로 시중은행 가운데 SC제일은행을 제외하고는 가장 낮다.

C 애널리스트는 "외환은행은 외환 및 무역금융 부문에 특화돼 있을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수수료 등 높은 수준의 비이자이익을 바탕으로 이익창출력이 안정돼 있다"고 평했다.

대기업 여신비중이 낮고, 외환영업이 약한 하나금융 입장에서 외환은행을 인수할 경우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img3.gif

합병에 따른 시너지보다도 M&A의 성사 가능성 측면에서도 외환은행을 택할 것이라는 답변도 있었다.

D 애널리스트는 "시너지보다도 실현가능성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하나금융이 외환은행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은행산업이 여전히 디레버리지 국면이라는 점을 생각했을 때 합병이슈가 걸려있는 우리금융보다는 외환은행 인수가 더 손쉬운 선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외환은행 지분 51% 인수를 위한 양해각서를 론스타 측과 체결했다"면서 "외환은행과 우리금융지주 중 하나만 인수할 것이고, (우리금융 인수의향서 마감일인) 26일까지는 최종 선택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E 애널리스트는 "우리금융을 가져올 경우 규모에서 유리해지고 외환은행은 실속을 챙길 수 있다"면서 "김 회장이 론스타를 이용하면서도 우리금융 민영화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특혜시비를 차단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을 했을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일종의 양수겸장 차원에서 외환은행 인수를 공식화했다는 것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