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퓨얼셀, 사모채 '고금리' 감수…"선제적 유동성 확보" 3년물 100억 조달금리 9.2%, 개별민평 대비 1% 높아
이지혜 기자공개 2022-11-22 07:58:36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7일 13:1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산퓨얼셀이 높은 금리로 사모 회사채를 발행했다. 투자심리 위축으로 공모채 시장이 사실상 문을 닫은 데다 기준금리 인상기가 지속되면서 공모가 아닌 사모를 택했다.17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두산퓨얼셀이 16일 3년물 회사채를 100억원 발행했다. KB증권이 대표주관을 맡았다.
조달금리가 눈에 띈다. 표면이율이 9.2%를 기록했다. 두산퓨얼셀이 세 달 전 공모채를 발행할 때에만 해도 2년물을 6.2%에 조달한 것과 대비된다. 당시 발행물보다 만기가 1년 더 길어지고 시장금리가 오른 점을 고려해도 조달금리가 높은 편이다.
한국자산평가에 따르면 16일 기준 두산퓨얼셀의 3년물 개별민평금리는 8.23%다. 물론 사모채 조달금리가 일반적으로 공모채보다 높은 편이긴 하지만 이 경우에도 대부분 20bp 정도 차이가 나기에 두산퓨얼셀의 조달금리는 더욱 눈에 띈다.
높은 금리를 감수하면서도 두산퓨얼셀이 사모채로 자금을 조달한 이유는 선제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두산퓨얼셀 관계자는 “당장 자금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지만 경기 불확실성이 커져 유동성을 미리 확보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공모채로 자금을 조달하기에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았다”고 말했다.
두산퓨얼셀은 올 8월 공모채 수요예측에서 흥행하면서 자금을 비교적 넉넉하게 조달했다. 모집자금은 400억원이었지만 700억원으로 증액발행했다. 더욱이 올해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도 없다. 그러나 경기 악화에 대비해 현금을 넉넉하게 쌓아두고자 사모채를 발행했다는 의미다.
두산퓨얼셀 관계자는 “당장 구체적으로 추가 자금 조달 계획을 세워두지는 않았다”면서도 “향후 금리 등 조건이 맞다면 추가 자금 조달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산퓨얼셀은 2019년 10월 ㈜두산의 연료전지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돼 설립된 기업이다.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를 공급하고 연료전지 발전소를 대상으로 한 장기 유지보수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한다. 올 3분기 말 기준으로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분 34.78%를 보유해 최대주주에 올라 있다.
두산퓨얼셀의 장기 신용등급은 'BBB0/안정적'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두산퓨얼셀이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부문에서 우수한 시장지위를 확보했다"며 "대규모 설비 증설 투자를 집행하지만 보유 현금이나 영업현금흐름을 통해 상당 부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오스템임플란트 M&A]최규옥 측 BW, 이자소득 늘수록 워런트 행사가 높아진다
- 디지털 덴티스트리 플랫폼 '큐브세븐틴', 투자유치 나섰다
- 유암코-오퍼스PE, 플라스틱 창호제조 '금오하이텍' 매각 시동
- 브랜디, 물류센터 투자금 145억 결국 날렸다
- 타다 합병하는 아이엠택시, 500억 투자유치 나선 배경은
- [IPO 모니터]LB인베스트먼트, EV/AUM과 PBR로 '밸류 거품' 뺐다
- SK에코플랜트 공모채 추진…'A- 건설채도 나온다'
- 롯데케미칼, '우리사주·구주주' 실권 불구 유증 성공
- 최대 4000억 공모채 추진 CJ제일제당, 대표주관만 5곳
- [Korean Paper]보금자리론 급증 대비 주금공, 스트레이트본드 첫 발행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영역한계 넘어선 엔터사의 변신]위버스, 하이브-네이버 IT혈맹에 기업가치 상승 '탄력'
- [CFO 워치/SM엔터테인먼트]'회계 전문가' 장철혁, 자산매각·IR 강화 '중책'
- [영역한계 넘어선 엔터사의 변신]하이브, 웃돈 주고 수퍼톤 인수 "AI오디오 비전 좋다"
- [SM엔터, 거버넌스 리스크]"거버넌스 국내 최고 수준...장기 파트너 될 것"
- [네이버가 그리는 글로벌 3.0]'미국 잡아야 글로벌 간다' 웹툰·C2C 사업확장성 주목
- [이사회 분석]IHQ, 사외이사 과반 유지해도 출석률 관리 '미흡'
- [100년 기업 메리츠의 비밀]수익창출 일등공신 부동산금융 '양날의 검'
- [SM엔터, 거버넌스 리스크]멀티 프로듀싱 체제 전환, 주가 상승 기폭제 될까
- [네이버가 그리는 글로벌 3.0]크림 위상 높아질까, C2C 전초기지로 '부각'
- [SM엔터, 거버넌스 리스크]내부거래 리스크 해소, SMBM 활용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