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비상무이사 활용법]풀무원, 2개 위원회만 참여하는 창업주⑥남승우 고문, 2018년 전문 경영인 체제 도입…전략위·총괄CEO후추위 위원으로 활동
김형락 기자공개 2025-02-25 08:23:13
[편집자주]
상법상 등기 임원은 사내이사, 사외이사, 기타비상무이사로 나뉜다. 기타비상무이사는 사내이사와 사외이사 중간에 위치한 이사회 구성원이다. 비상근 이사지만, 법률상 결격 요건 규정은 없다. 국내 재계에선 여러 계열사 이사회를 겸직하는 임원이나 재무적 투자자(FI)가 선임한 이사가 기타비상무이사인 경우가 많다. 전문 경영인에게 대표이사를 맡긴 오너가 기타비상무이사로 이사회만 챙기기도 한다. theBoard는 주요 기업 기타비상무이사 면면과 역할을 조명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8일 08시27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풀무원은 설립자이자 최대주주인 남승우 고문이 기타비상무이사로 이사회에 참여한다. 남 고문은 2018년 평소 소신대로 경영권을 자녀에게 승계하지 않고, 전문 경영인을 세워 소유와 경영을 분리했다. 지금은 이사회 일원으로 경영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 남 고문과 풀무원을 창업했던 원혜영 웰다잉시민운동 공동 대표는 정계 은퇴 뒤 사외이사로 합류했다.풀무원 이사회는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8명, 기타비상무이사 1명 등 총 이사 11명으로 구성했다. 사내이사는 지난달 총괄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한 이우봉 대표이사와 전임 총괄 CEO인 이효율 이사회 의장이다. 남 고문은 2018년 1월 이 의장에게 총괄 CEO 자리를 인수인계하고 기타비상무이사로 남아 있다.
남 고문은 만 65세가 되는 2017년을 끝으로 전문 경영인에게 풀무원 경영권 승계한다는 지론을 실천했다. 그는 평소 "글로벌 기업 CEO는 대부분 65세에 은퇴한다"며 "비상장 기업은 가족 경영이 유리하지만 상장 기업 경영권 승계는 전문 경영인이 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소신을 밝혔다.

남 고문은 지난해 12월 기준 풀무원 지분 56.7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슬하에는 1남 2녀를 두고 있다. 장남 남성윤 씨는 풀무원 USA 영업본부장으로 일한다. 남 본부장은 프리미엄 헬스&웰니스 브랜드를 운영하는 계열사 올가홀푸드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올가홀푸드는 결손금 473억원이 누적돼 2023년 말 자본총계가 마이너스(-)251억원이다.
남 고문은 지난해 3월까지 경영 자문 역할을 하면서 풀무원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지금은 이사회 구성원으로 의사 결정에 참여하면서, 이사회 내 전략위원회와 총괄CEO후보추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다. 전략위는 △중장기 성장 △가치 제고를 위한 과제 △전략, 투자 방향 검토·논의·검증 △이사회·대표이사 자문 기관 기능을 수행한다. 후추위는 총괄 CEO 후보를 추천·선정·심사를 담당한다.
남 고문은 1984년 고등학교·대학교 동창인 원혜영 웰다잉시민운동 공동 대표와 풀무원을 설립했다. 남 고문과 원 대표는 1970년 서울 경복고를 졸업했다. 남 고문은 서울대 법과대학 법학과에 70학번으로, 원 대표는 재수해 서울대 사범대 역사교육과에 71학번으로 입학했다.

사업을 먼저 시작한 건 원 대표다. 풀무원은 원 대표가 1981년 서울 압구정동에 문을 연 유기농산물 판매점 '풀무원 무공해 농산물 직판장'에서 출발했다. 원 대표 부친인 고(故) 원경선 풀무원농장 원장이 재배한 농산물을 파는 가게였다. 원 대표가 현대건설에 다니던 남 고문에게 사업을 같이 해보자고 제안해 1982년 풀무원 전신인 풀무원효소식품을 설립했다. 1984년 풀무원효소식품 상호를 풀무원식품(현 풀무원)으로 바꾸고, 법인으로 전환했다.
남 고문은 풀무원을 설립하면서 곧바로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원 대표는 1987년 정계로 떠났고, 남 고문이 풀무원 경영을 이어갔다. 이후 원 대표는 경기도 부천시장(민선 2, 3대)과 14대, 17~20대 국회의원(5선)을 역임했다. 원 대표는 1996년 자신이 가진 풀무원 지분을 전부 기부해 재단법인 풀무원부천육영재단(현 부천교육문화재단)을 세웠다.
원 대표는 2020년 정계를 은퇴해 웰다잉 문화 운동가로 변신했다. 2021년 풀무원 정기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됐다. 지난해 풀무원 정기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재선임돼 보상위원회 위원장과 사외이사 평가 위원회와 전략위 위원으로 활동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첫 파트너 초청 행사 개최
- [Policy Radar]금융위원장, 지지부진한 MG손보 매각전에 일침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회추위·선관위 구성, 회장 선임 절차 본격 '돌입'
- [보험사 매물 분석]ABL생명, 자본적정성 악화·포트폴리오 전환 정체 '이중고'
- [Policy Radar]금감원, '네·카·토' 정기검사 본격화…PG·정산대금 관리 집중 점검
- 기동호 우리금융캐피탈 대표, 신용리스크 관리 체계 재정비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DGB금융, 실적 부진에도 '600억 소각' 결의 배경은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PF 리스크 확대, 리테일 대세 전환…JB우리캐피탈 '약진'
- "뉴노멀 된 금융사고, 문제는 온정주의"…이복현의 경고
- [은행권 신지형도]절대 강자도 절대 약자도 없다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가 대나무 숲이 되려면
- [이슈 & 보드]우리금융, 교체 대상 사외이사 내부 평가는 '최우수'
- [기타비상무이사 활용법]풀무원, 2개 위원회만 참여하는 창업주
- [기타비상무이사 활용법]NC소프트, 외부 전문가서 경영진으로 바뀐 박병무 대표
- [기타비상무이사 활용법]GS그룹, 오너가·지주사 C레벨 임원 조력자로 배치
- [기타비상무이사 활용법]현대차그룹, 오너가 다음으로 최장 임기 기록한 이사는
- [기타비상무이사 활용법]SK, 겸직 계열사 평가·보상 체계 점검 맡겨
- [기타비상무이사 활용법]LG그룹, 계열사 의장 겸하는 지주 부회장·사장
- [사외이사 주주 추천제 점검]JB금융, 2·3대주주 영향력 입증
- [사외이사 주주 추천제 점검]DGB금융, 외부 출신 수장이 만든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