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임 성공 방성빈 부산은행장 "우량 고객 확보 더 집중해야" 시중은행 경쟁 심화에도 부산시금고 사수, 실적 반등 성공…올해 과제는 자산 리밸런싱
김영은 기자공개 2025-02-18 10:55:2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7일 19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방성빈 부산은행장(사진)이 BNK금융지주의 신뢰를 받으며 연임에 성공했다. 방 행장은 취임 직후 시중은행과 경쟁이 격화되는 영업환경을 맞닥 뜰였지만 지역 기반을 공고히 다지며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행장으로서의 최대 과제라 여겨졌던 부산시금고 사수에도 성공하며 역량을 입증했다.◇빈대인 회장 신뢰 속 임기 1년 더
17일 금융업권에 따르면 BNK금융 자회사CEO후보추천위원회는 방성빈 행장을 차기 부산은행장 최종후보로 추천했다. 연임 임기는 1년으로 2026년 3월 31일까지다. 방 행장은 부산은행 임원후보추천위원회와 주주총회를 걸쳐 선임이 확정될 예정이다.
방 행장은 더벨과의 통화에서 "직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좋은 결과를 이루어냈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나왔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또한 그는 앞으로의 과제로 "지난 2년간 기반을 다졌다면 올해는 실행으로 옮기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지난해 시금고 유치를 한 성과를 바탕으로 기관 등 우량 고객 확보에 더 집중해야 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방 행장은 임기 내 최대 과제로 여겨졌던 부산시금고 사수에도 성공하며 역량을 드러냈다. 부산은행은 지난해 지역 재투자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는 등 지역 밀착 행보를 바탕으로 지난해 9월 부산시 1금고에 선정됐다. 시중은행 및 국책은행과의 경쟁에도 지방은행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며 영업 기반을 다졌다.
방 행장이 재임 기간 동안 CEO로서의 역량을 드러내며 빈 회장의 신뢰가 더욱 공고해졌다는 평가다. 방 행자은 과거 빈대인 부산은행장 시절 은행의 경영기획부장(CFO)를 3년간 핵심 경영진으로 호흡을 맞췄다.
방 행장은 1965년 7월 출생으로 동아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89년 부산은행에 입행했다. 이후 부산은행 검사부장, 경영기획부장 등을 거쳐 부행장보를 지냈다. 2021년부터는 BNK금융 그룹글로벌부문장 상무로 2년간 지주에서 근무한 뒤 부산은행장으로 취임됐다.
◇지주 밸류업 호흡 맞춘다
방 행장의 올해 과제는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이다. 밸류업 계획을 통해 수익성 중심 성장 전략을 예고한 BNK금융은 최근 은행의 자산 재분배에 주력하고 있다. 기업대출에 편중된 대출 포트폴리오를 가계 및 마진 중심의 대출로 안정화해 자본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방 행장은 지주와 호흡을 맞춰 은행의 대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는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
부산은행은 지난해 기준 기업자금대출이 38조9182억원으로 전체 원화대출금의 65.3%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수익성이 낮은 중소기업 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안정적인 가계대출은 19조4083억원으로 32.6%에 그쳤다.
방 행장은 인터넷은행과도 협업하며 영업 기반 확대를 꾀하고 있다. 부산은행은 지난 1월 케이뱅크와 전략적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올 상반기 가계 공동대출 상품을 출시하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소상공인 대출과 관련해서도 협업을 이어갈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사후 대책 이행에도 경영평가 '3등급 하향' 현실화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인가전 빠지는 더존비즈온…경쟁 우위 선 한국소호은행
- JT저축, 첫 80년대생 임원 나왔다…경영전략 '총괄'
- [Policy Radar]보험사 자본감독 더 합리적으로...자본확충 판도 바뀔까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소호은행, 메가존클라우드 영입…'BaaS' 모델 정조준
- 금융지주 사내이사 선임 번번이 반대한 ISS…이복현의 시각은
- [은행권 신지형도]2년 만에 '영업통' 맞은 하나은행, 올해 키워드는
- [한국캐피탈은 지금]군인공제회 핵심 계열사로…유동성 지원도 '든든'
- [저축은행 부실 PF 사업장 점검]한투저축, 경·공매 최다 매물 등록…PF 정리 '속도전'
- [보험사 지배구조 점검]은행 못 미치는 보험사 지배구조 개선한다…실효성은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인가전 빠지는 더존비즈온…경쟁 우위 선 한국소호은행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소호은행, 메가존클라우드 영입…'BaaS' 모델 정조준
- [보험사 지배구조 점검]은행 못 미치는 보험사 지배구조 개선한다…실효성은
- [신한금융 CEO 인사이트]민복기 신한DS 대표 "본연의 역할 충실, 차별화한 인력풀 구축"
- 카카오뱅크, 윤호영 대표 5연임 속 이사회 '쇄신' 택했다
- [신한금융 CEO 인사이트]이희수 제주은행장 "건전성 개선 시급…도외 영업 확장 추진"
- [농협금융은 지금]개선 요구 그친 지배구조 지적…금융사고 제로화 실현 될까
- [이사회 분석]BNK금융, 빈대인 체제 '안정' 방점…핀테크 전문가 영입
- [이사회 분석]DGB금융, 옅어진 대구 색채…시중은행지주 '한발 더'
- [KB금융 CEO 인사이트]박찬용 KB데이타시스템 대표, "코어뱅킹 슬림화 등 그룹 전략 사업 리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