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IB 이탈, 국내 증권사에 절호의 기회" [자본시장 재야 고수에 묻다]박종욱 전 바클레이즈캐피탈 한국법인 대표
민경문 기자공개 2016-07-04 14:32:21
[편집자주]
진짜 고수는 공력을 드러내지 않는 법이다. 비록 지금은 강호를 떠나있지만 한때 자본시장을 주름잡던 실력자들은 곳곳에 숨어 있다. 머니투데이 더벨은 이들을 찾아 국내 캐피탈마켓을 둘러싼 통찰력 있는 '한 수'를 들어보기로 했다.
이 기사는 2016년 06월 29일 14:0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박종욱 전 바클레이즈캐피탈 한국법인 대표를 만난 건 그가 미국 휴가를 다녀온 직후였다. 바클레이즈가 한국 철수를 결정하면서 박 전 대표도 짐을 쌀 수밖에 없었다. 그는 "바클레이즈는 여전히 절반 이상의 수익을 미국에서 거두고 있다"며 "중국 진출이 실패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거점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시원섭섭한 기색이 역력했다. IB바닥에서만 25년을 보냈다. 한국(LG 및 우리투자증권), 미국(골드만·모간스탠리), 영국(바클레이즈), 일본(다이와)의 주요 IB를 모두 경험한 건 국내에서 그가 유일하다. 첫 직장인 오라클과 1년 간 몸담았던 보스톤컨설팅그룹(BCG) 이력까지 포함하면 일반 기업의 재무와 전략 컨설팅까지 섭렵한 셈이다.
IB기초를 닦은 곳은 LG증권(NH투자증권의 전신) 국제금융실이었다. 허태수 GS홈쇼핑 부회장(당시 팀장) 밑에서 해외 주식 발행 등 ECM 업무를 주로 배웠다. 하지만 IMF 때 국제금융실이 사라지면서 BCG로 자리를 옮겼다. 당시 펩시콜라의 한국시장 확장과 관련해 M&A 전략을 처음 접한 곳이 BCG였다.
커리어의 하이라이트는 모간스탠리에서 펼쳐졌다. KT 민영화, 한솔PCS 매각, LG필립스 IPO 동시상장 등의 빅딜을 줄줄이 성사시켰다. 2004년부터는 골드만삭스로 옮겨 하이마트 매각을 주도했다. LG필립스 상장과 하이마트 매각은 그가 처음부터 끝까지 관여했던 딜이라는 점에서 기억에 특히 남는다고 했다.
여기서 에피소드 하나. 골드만삭스가 2006년 롯데쇼핑의 상장 주관사로 선정된 배경이 궁금했다. 그는 "신격호 회장이 일본에서 사업을 시작할 때 처음 돈을 빌려준 곳이 스미토모은행이었다"며 "해당 지점장이 일본 골드만삭스 이사회 일원이었는데 그가 골드만삭스와 롯데를 연결해 줬다"고 귀띔했다.
|
박 전 대표는 "10년 전만 해도 크로스보더 M&A 기회가 자주 있었는데 대기업이 몸을 사린 것이 지금의 결과를 만들어냈다"며 "삼성 등이 주도적으로 대형 M&A에 나섰어야 했다"고 말했다. 그는 2011년 우리투자증권 재직 당시 메디슨 매각 자문사로서 삼성과 거래를 성사시키긴 바 있다. 삼성메디슨은 지난해 27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과거 산업은행의 리먼브러더스 인수 시도에 대해서도 못내 아쉬움을 피력했다. 산업은행이 글로벌 IB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진 않았다고 했다. 다만 최종 실패했더라도 그 과정 자체가 좋은 경험으로 남았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 전 대표는 "그 때 당시 가격으로 리먼브러더스를 매입할 기회는 앞으로도 영원히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내 IB업계의 '내셔널 챔피언(national champion)'이 필요하다고 했다. 외국계 IB가 하나둘씩 떠나가는 상황인 만큼 절호의 기회라는 것. 일본의 예를 들었다. 그는 "노무라와 다이와라는 초대형 IB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 증권사"라며 "한국은 과도하게 많은 수의 증권사가 난립해 있는 구조"라고 했다.
얘기는 자기자본 확대의 이슈로 이어졌다. 자기자본이 많다고 IB를 반드시 잘하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박 전 대표는 "IB의 기본인 언더라이팅 여력을 고려해야 한다"며 "일정 수준의 자기자본이 되지 않으면 해외 대형 딜의 주관 업무 자체가 불가능해진다"고 했다. 자기자본 활용도의 높고 낮음은 그 다음의 문제라는 얘기다.
물론 증권사들의 무리한 투자는 경계했다. 박 전 대표는 "골드만삭스를 필두로 다수의 해외 IB들이 무리한 자기자본투자(PI)로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며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자기자본을 늘려나가는 것은 좋지만 수수료에 기반한 전통 IB비즈니스를 소홀히 해서는 곤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게 앞으로 계획을 물었다. 더 이상 IB에 미련은 없다고 짐짓 손사래를 쳤다. 하지만 빅딜이 나왔을 때 기회가 주어진다면 도전해보고 싶단다. 한번 i-뱅커는 영원한 i-뱅커다.
◇주요 이력
1967년 서울 출생
1990년 ~ 1992년오라클 시스템
1992년 ~ 1998년 LG투자증권 국제금융실
1998년 ~ 1999년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1999년 ~ 2004년 모간스탠리증권(Morgan Stanley)
2004년 ~ 2009년 골드만삭스증권(Goldman Sachs)
2009년 ~ 2010년 우리투자증권 M&A 그룹장 (상무)
2010년 ~ 2014년 다이와증권 IB 대표
2014년 ~ 2016년 5월 바클레이즈캐피탈 한국법인 대표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북미 질주하는 현대차]윤승규 기아 부사장 "IRA 폐지, 아직 장담 어렵다"
- [북미 질주하는 현대차]셀카와 주먹인사로 화답, 현대차 첫 외국인 CEO 무뇨스
- [북미 질주하는 현대차]무뇨스 현대차 사장 "미국 투자, 정책 변화 상관없이 지속"
- 수은 공급망 펀드 출자사업 'IMM·한투·코스톤·파라투스' 선정
- 마크 로완 아폴로 회장 "제조업 르네상스 도래, 사모 크레딧 성장 지속"
- [IR Briefing]벡트, 2030년 5000억 매출 목표
- [i-point]'기술 드라이브' 신성이엔지, 올해 특허 취득 11건
- "최고가 거래 싹쓸이, 트로피에셋 자문 역량 '압도적'"
- KCGI대체운용, 투자운용4본부 신설…사세 확장
- 이지스운용, 상장리츠 투자 '그린ON1호'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