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차등감자 통해 재무구조 개선할듯 이동걸 산은 회장, 정무위 4일 국감 답변 통해 무상감자 필요성 인정하는 발언
정용환 기자공개 2016-10-04 13:15:57
이 기사는 2016년 10월 04일 13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대우조선해양 대주주가 회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액주주 역시 소액주주 나름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무상감자를 시행해 추가 자본확충 기반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회장이 발언한 '주주 책임론'으로 무상감자 가능성이 더욱 현실화하는 모양새다.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4일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해 "기본적으로 (대우조선해양) 대주주는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이 "10월 중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감자를 진행하려고 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최근 금융권 일각에서는 산업은행이 이달 중으로 대우조선해양의 무상감자를 추진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은행이 10월 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무상감자를 추진한 뒤 연내 모든 무상감자 절차를 마무리하고 향후 이를 바탕으로 유상증자를 추진, 대우조선해양에 추가 자금을 투입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은 그간 이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해왔다. 산업은행은 지난달 29일 "현재 (대우조선에 대한) 자본확충 규모, 방식 및 시기 등에 대한 검토를 진행중에 있으나 확정된 바가 없다"며 말을 아껴왔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산업은행과 똑같은 입장을 되풀이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달 30일 공시를 통해 "당사는 채권단과 긴밀한 공조 및 협의를 통해 회사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며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이날 이동걸 회장이 국정감사에서 언급한 대주주 책임론은 사실상 산업은행의 대우조선해양 무상감자 추진을 확인해 준 발언으로 풀이된다. 소난골 드릴쉽 인도 지연 등으로 자체적인 유동성 공급 맥이 끊긴 대우조선에겐 채권단의 추가 자금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채권단이 유상증자 내지 추가 출자전환 등의 자금지원방안을 현실화하기 위해선 6월 말 기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감자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
다만 무상감자에 있어 걸림돌이 되는 것은 소액주주 반발 문제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는 산업은행(49.7%), 금융위원회(8.5%), 우리사주조합(2.5%) 등이다. 산업은행이 금융위원회, 우리사주조합 등의 동의를 얻어 무상감자를 추진한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39.3%의 지분을 나눠 갖고 있는 소액주주들의 반발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이러한 반발을 감안해 산업은행에만 한정된 무상감자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날 국정감사에서 이 회장은 "일반 소액주주도 미세하지만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소액주주들에게도 일정 수준의 고통 분담을 지울 것임을 시사했다. 소액주주의 책임에 대해선 '미세하다'고 선을 그은만큼 산업은행이 대주주에 대한 차등소각 등을 통해 소액주주 보호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동걸 회장은 "구체적인 사항을 알려달라"는 유 의원의 추가 질의에 대해선 "회의 끝나고 난 뒤에 (따로)말해줄 순 있으나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클 것을 감안하면 (국정감사 자리에서)공개적으로 얘기하기는 힘들다"고 말해 즉답을 회피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금감원, 상법개정안 처리 지연 정조준…민주당 책임론 부상
- 금감원 "횟수 제한 없다"...한화에어로 공시 리스크 확대되나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충청권 기업금융 '부메랑', 상상인플러스 충격 '고스란히'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롯데캐피탈, 안정지향 기조가 만든 '무연체' 부동산PF
- 심사 기준 강화, 대신증권 초대형 IB 진입 지연 불가피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관리·감독 문제 고개…중앙회, 지원 체계 개편 '시동'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순이익률로 본 카드사 성적표…삼성의 독주, 반전의 하나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효율화 대상' 자산감축 배점 확대, 건전성 관리 '고삐'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삼성화재, 자본의 양·질 모두 '무결점'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하나캐피탈, 연체 관리 전담 인력 배치…심사 체계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