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모바일 혁신, 새로운 기회 제공할 것" 정차오위 전거지진 공동창업자 "새 소비 트렌드가 성장동력"
이 기사는 2016년 10월 28일 20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모바일 혁신은 중국 시장을 어떻게 변모시켰고, 투자자와 기업들에게 어떤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까. 과거 '인구 보너스(인구 증가로 인한 성장)'와 '국제화(globalization)'라는 두 축으로 고도 성장을 이룩한 중국이 이번에는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성장 동력으로 삼게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중국 전거지진의 정차오위 공동창업자(사진)는 28일 머니투데이 더벨이 개최한 '본 투 글로벌 캠프(부제: Korea-China startup boot camp 2016)'에서 "중국 시장은 모바일 혁신에 따라 커스터마이징(맞춤 제작 서비스) 기반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며 "이러한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이 한국 기업을 포함해 여러 업체에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30여 년 동안 중국은 두 가지의 기회를 토대로 성장해왔다"며 "첫 번째 기회는 무엇보다 막대한 인구라는 '보너스'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규모 소비가 가능한 시장이었기 때문에 전자상거래와 유통, 물류 등 여러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차오위 공동창업자는 중국의 두 번째 기회를 국제화로 꼽았다. 그는 "한국의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처럼 글로벌 기업이 공격적으로 중국에 진출했고, 많은 현지 사업이 이를 계기로 고도화할 수 있었다"고 했다. 이어 "인구가 많기 때문에 자유무역 자체가 중국에게 큰 기회였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중국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로에 놓여있다. 2008년 정부의 대대적 경제 부양책이 시작됐지만 오히려 과잉 생산 이슈가 불거졌다. 투자 초기에는 생산량에 맞는 수요를 찾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이후 단순 혁신을 통한 성장은 쉽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
정차오위 공동창업자는 "중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키워드는 모바일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모바일 인터넷에 따른 가장 큰 시장 변화는 여러 수요의 정보를 쉽게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과거 대량 생산 시스템이 산업 혁명을 일으켰듯이 모바일 시대의 커스터마이징 생산은 다양한 사업 기회를 쏟아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기존 인구 보너스와 국제화에 따른 사업 기회도 여전하다"며 "중국 대도시를 제외한 여러 중·소도시는 아직 시장과 소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글로벌 브랜드에 계속해서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거지진은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자산관리투자기관이다. 그동안 스지지아위엔와 라이트인더박스, 쥐메이요우핀, 이치줘예, 자오강닷컴, 쇼오훙슈, 미야닷컴, 메이차이닷컴, 뤄지물류, 따이마, 51Talk 등에 투자했다. 이들 기업은 전거지진의 투자로 '스타 컴퍼니'로 부상했다.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
- 포바이포·살린, 'D.N.A. 파트너십 동반진출 사업' 선정
- 대방건설, 북수원이목지구 '디에트르 더리체 Ⅱ' 분양
- 흑자전환 성공 패스트파이브, 외형·수익성 다 잡았다
- [i-point]티로보틱스, AI 로드맵 공유…AMR·휴머노이드 접목
- [i-point]신성이엔지,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협약
- [i-point]이엠앤아이 "슈뢰딩거 AI 플랫폼 판매 확대 기대"
- [i-point]스카이월드와이드, '아젠스Graph v2.15.0' 출시
- "BBT-877 적응증 재탐색" 대응 나선 브릿지바이오
- [LIG넥스원은 지금]'수긍되는' 고PER, 천궁-II에 기대 쏠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