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7년 12월 18일 07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제약업계는 내외부 소통에 서툰 편이다. 대표 소통 창구인 홈페이지만 봐도 알 수 있는 정보는 제한적이다. 이런 현상은 상위제약사에서 중소사로 갈수록 두드러진다.국제약품은 매출액 기준 중소사에 가깝다. 5년째 1200억 원 수준을 맴돌고 있다.
다만 소통 방식은 상위사 부럽지 않다. 한미약품, 셀트리온 등 유명 제약사에 비해 외부의 관심은 덜하지만 고객 및 임직원들과 꾸준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홈페이지는 역동적이다. 팝업창에 뜬 5분 37초 분량의 동영상은 국제약품의 방향 등 이모저모를 소개한다. 인스타그램을 착안한 KJ(국제) 스타그램북도 눈길을 끈다. 2017년 국제약품 가족 이야기(성과 등)를 54페이지에 걸쳐 사진으로 담고 있다.
페이스북을 통해 대한안과학회 참가 소속을 전하는가 하면 제품 광고는 '파포티셀 드라마-북두칠성1,2'처럼 스토리를 입혔다.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는 HAPPY NEW YEAR, MERRY CHRISTMAS, Winter is here 등 새해 및 겨울 이미지를 연출했다. 아직 글로벌 성과는 미미하지만 English 버전도 마련했다. 타사 홈페이지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시도들이다.
국제약품은 올해부터 1980년생 오너 3세 남태훈 사장이 회사를 이끌고 있다. 2013년 국제약품 판매총괄 부사장을 역임하고 올초 사장으로 승진했다.
남 사장 역시 직원들과 소통한다. 지난해말 SNS를 통해 "녹내장 개량 신약 R&D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의사 결정이 망설여졌던 것이 사실이지만 국제약품 새 비전(가치를 디자인해 건강한 세상을 만드는 기업)의 첫 과제를 위해 개발을 결정하게 됐다"며 어려움을 공유하고 진행 과정을 알렸다. 올해는 업계 최초 이익공유제를 도입해 성과를 나눴다.
국제약품만의 소통 방식. 지금은 중소사 위치지만 향후 상위사로 올라서는 자양분이 될 수 있다. 소통 없이 발전하는 회사는 없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대명소노 시대 티웨이항공]새 이사회 키워드 '대한항공 출신'
- [대명소노 시대 티웨이항공]'일단 연임' 정홍근 대표, 대명소노와 '불편한 동거'
- [아세아그룹 밸류업 점검]'저PBR' 아세아시멘트, 주주환원 안간힘에도 '제자리걸음'
- [Company Watch]한진, 순손실로 돌아선 배경 '통상임금'
- [Red & Blue]'대웅체제 본격화' 시지메드텍, 주가 '꿈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이차전지 소재사업 나선 나노실리칸첨단소재, 조달 관건
- [다시 돌아온 초록뱀 그룹]원영식 회장, 쌍방울그룹 디모아 후방지원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