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그룹, 삼환기업 예비인수자 '유력' 중흥 계열 시티건설 제치고 수의계약 '눈앞'…키스톤PE, 입찰 참여 여부 '주목'
김경태 기자공개 2018-01-25 08:11:40
이 기사는 2018년 01월 23일 16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라마이다스(SM)그룹이 최근 매물로 나온 삼환기업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입찰 전 예비인수계약을 눈앞에 두면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한 상태다.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과 매각주관사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은 삼환기업 매각을 위해 입찰 전 예비인수인을 물색했다. SM그룹과 중흥그룹 계열 시티건설이 관심을 보였다. SM그룹이 시티건설보다 더 높은 금액을 제시했고, 수의계약을 앞두고 있다.
서울회생법원은 이번 삼환기업 매각을 스토킹호스(Stalking-horse)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스토킹호스는 예비인수자를 구한 후 경쟁입찰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실패한 사례가 사실상 없다. 삼환기업 입찰은 수의계약을 맺은 후 한 달 뒤 진행될 예정이다.
매각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Keystone PE)의 경우 예비인수자를 정하는 단계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접촉이 있었다"고 말했다.
향후 본입찰의 우선협상대상자가 SM그룹보다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인수 여부가 확실해지는 것은 아니다. 기존 수의계약자에게는 우선협상대상자와 같은 금액으로 매수할 권한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SM그룹이 인수의지가 강한 만큼 권리를 행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간 SM그룹은 주택사업에 치중된 사업포트폴리오를 개선하기 위해 건축·토목에 강점이 있는 건설사를 사기 위해 노력했다. 동아건설산업과 경남기업 등을 품었다. 삼환기업도 건축·토목 시공 경험이 많다. 작년 3분기 전체 매출 중 토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66% 정도로 SM그룹이 군침을 흘릴만한 사업구조를 갖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