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케첩·카레로 일으킨 '나눔 공화국' 오뚜기 [식음료 명가 재발견①]함태호 명예회장, 식품보국 책임감…갓뚜기·미담자판기 별명 얻어
전효점 기자공개 2018-07-11 08:07:00
[편집자주]
국내 식음료업계가 성장 한계에 봉착했다. 시장이 정체된 가운데 업계간 경쟁은 그 어느때보다 치열하다. 창립 이후 반세기 넘게 크고 작은 난국을 수없이 헤치며 살아남은 식음료 명가들조차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더벨은 식음료 명가들의 성장과 현 주소, 100년 명가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들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18년 07월 06일 11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고 함태호 오뚜기 명예회장은 40세가 되던 1969년 풍림상사를 열고 고추장과 막장이 오르던 국민들의 밥상에 카레와 케첩, 마요네즈를 처음 소개했다. 50여년이 흐른 오늘날 오뚜기는 우리나라 소스 시장의 70%를 석권한 1위 사업자로 굳건히 자리매김하고 있다.오뚜기가 반세기만에 우리나라 먹거리 기반을 책임지는 기업으로 부상한 배경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외국 브랜드 제품을 먹일 수 없다'는 함 명예회장의 굳은 신념이 있었다. 이는 많은 국민들이 배를 곯던 시절 식품 기업을 연 기업인의 사명감이기도 했다.
하지만 서양식 소스을 주로 판매하는 기업 특성상 오뚜기는 국내 식품시장을 넘보던 외국자본과 자주 부딪칠 수밖에 없었다. 풍림상사는 1980년대 오뚜기식품으로 상호를 변경하던 무렵부터 국내에 진출하기 시작한 미국 CPC인터내셔널의 크노르나 하인즈와 마요네즈와 케첩 시장을 놓고 격전을 벌여야 했다. 함 명예회장은 생전 당시에 대해 "우리 시장을 지켜 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싸웠기 때문에 경쟁에서 이길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이렇듯 함 명예회장의 식품보국의 책임감은 오늘날 오뚜기가 ‘갓뚜기', ‘미담 자판기'라는 별명을 갖게 된 다양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배경이 됐다. 2세인 함영준 현 회장은 이러한 정신을 물려받아 계승해나가고 있다.
|
오너 2세인 함영준 회장이 이끄는 오뚜기는 구조적인 침체에 빠진 식품업계 가운데서도 괄목할 만한 경영 성과를 보여주면서 주목 받고 있다. 함 회장은 2010년 선친으로부터 경영권을 승계 받을 당시 연매출 1조 원 초반 사업체를 오늘날 2조 원 대 기업으로 도약시켰다. 당시 업계 5위까지 밀렸던 기업은 종합식품기업 2위로 올라섰다. 13만 원에 불과하던 주가는 83만 원대까지 수직 상승했다. 2013년에는 라면 시장에서 2위 사업자로 올라섰으며 최근에는 가정간편식(HMR) 시장에서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꾸준한 성장 가운데서도 오뚜기는 '더 많은 국민들에게 더 풍부한 먹거리를 저렴하게 제공한다'는 원칙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2008년 이후 물가 인상으로 경쟁사 대부분이 주요 라면가격을 평균 5% 이상 올렸지만 오뚜기만은 소비자의 부담을 염려해 라면 가격을 인상하지 않는 뚝심을 보여주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