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부토건 새주인 우군 'STS개발·디안' 어떤 곳? 소규모 부동산디벨로퍼, 지분 확보·이사회 진입 노려
김경태 기자공개 2018-09-19 15:34:54
이 기사는 2018년 09월 18일 15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진이 삼부토건 경영권 장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에스티에스(STS)개발·디안과 협력하고 있다. 두 곳 모두 규모가 크지 않은 부동산개발업체(디벨로퍼)다. 향후 우진과 함께 삼부토건 인수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달 7일 삼부토건의 최대주주가 변경됐다. 기존의 디에스티(DST)로봇 외 1인에서 우진인베스트사모투자합자회사 외 4인으로 바뀌었다.
이번 최대주주 변경은 이달 진행된 유상증자 때문이다. 삼부토건 새 주인 지위를 노리는 우진은 유증에서 △우진인베스트제일호 유한회사 △이앤씨그로쓰사모투자합자회사 △이앤씨그로쓰제일호 유한회사 △이앤씨그로쓰제이호 유한회사 4곳을 통해 각각 지분 1.08%, 0.33%, 4.87%, 4.33%를 확보했다.
새로 주주로 등장한 4곳 중 우진인베스트제일호는 기존에 우진이 지배하는 우진인베스트사모투자합자회사가 지분율 100%로 최대주주다.
이 외 나머지 3곳은 STS개발이 사실상 지배하는 구조다. STS개발은 이앤씨그로쓰사모투자합자회사의 지분 99.63%를 보유하고 있다. 이앤씨그로쓰사모투자합자회사는 이앤씨그로쓰제일호와 이앤시그로쓰제이호의 지분 100%를 가진 최대주주다. STS개발이 삼부토건 지분 9.53%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셈이다.
|
STS개발은 김현석 대표가 이끄는 디벨로퍼로 2004년 탄생했다. 김 대표는 2016년까지는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작년부터 지분 100%를 모두 소유한 단일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그는 오는 11월 9일 열릴 예정인 삼부토건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 진입을 노리고 있다.
STS개발은 설립 후 작년까지 매출이 2000억원을 넘은 적이 단 한번도 없는 소규모 디벨로퍼다. 그나마 1500억원을 넘었던 것은 2006년(1556억원)과 2008년(1571억원) 두 해다. 2014년과 2016년에는 130억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작년에는 상황이 개선됐지만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074억원, 115억원이었다.
인수전에 등장한 또 다른 업체인 '디안'도 부동산디벨로퍼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업개발실 등에서 경력을 쌓은 안근철 대표가 이끌고 있다. 안 대표는 경기도 도시재정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그는 11월 9일 주총의 사내이사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디안은 STS개발보다도 더 소규모인 업체다. 외부감사법인이 아니라 금융감독원에서 회계정보를 볼 수 없다. 중소기업벤처부에서 디안의 최근 3개년 실적과 재무를 볼 수 있는데, 매출이 20억원을 넘은 적이 없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4억원 이하였다. 작년 말 납입자본금은 5000만원, 총 자산은 10억원에 불과하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