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게임즈, 비엔엠 매각 실탄 어디에 쓸까 경영권 포함 1200억에 포스링크 양도, 채무상환·신규 게임개발 사용
신상윤 기자공개 2019-02-19 15:26:04
이 기사는 2019년 02월 19일 15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파티게임즈가 자회사 비엔엠홀딩스 매각으로 재무구조 개선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성장성이 정체된 비엔엠홀딩스를 기대 이상의 가격으로 매각하면서 확보한 자금으로 부채 상환과 신사업 추진 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
지난 2012년 설립된 비엔엠홀딩스는 아이템베이와 아이엠아이의 지분 100%를 갖고 지배하는 회사다. 아이템베이는 세계 최초로 온라인 게임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에 알려졌다. 또 게임 회사와 제휴를 맺고 서버에 접속시켜주는 '채널링'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아이템아이도 '아이템매니아'라는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아이템베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업계에선 비엔엠홀딩스 매각이 파티게임즈와 포스링크 간 이해관계가 떨어진 결정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상장폐지 가처분 인용으로 법정 다툼을 진행 중인 파티게임즈는 비엔엠홀딩스를 매각해 12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비엔엠홀딩스의 자회사들이 영위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사업은 수익성이 점차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외부회계법인이 비엔엠홀딩스의 연간 매출액을 추정한 결과 올해 574억원에서 오는 2023년 629억원으로 연평균 2%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는 최근 PC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이 스마트폰을 통한 게임으로 점차 이동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포스링크는 비엔엠홀딩스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암호화폐 사업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 2017년 비엔엠홀딩스는 게임 아이템 거래 수단을 대체할 암호화폐를 발행하기 위한 코인공개(ICO)를 추진한 바 있다. 특히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빗썸' 최대주주인 비티씨홀딩컴퍼니와의 사업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김병권 BK그룹 회장은 포스링크의 경영권 인수와 맞물려 비티씨홀딩컴퍼니의 최대주주로 올라설 것으로 알려졌다.
파티게임즈는 비엔엠홀딩스를 매각해 확보한 자금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1200억원의 매각자금을 현금으로 확보하면서 만기가 도래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전액 상환해 무차입경영까지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게임 산업도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모바일 게임 아이러브커피는 오는 7월 7주년 이벤트를 기점으로, 다양한 유저 편의 기능과 신규 콘텐츠가 추가될 예정이다. 올해 3년 차인 아이러브니키도 한국 사용자를 위한 특별 의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유저에게 선보이기 위해 중국 개발사와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
신규 게임도 개발한다. 올해 상반기 브릴라이트 블록체인 기술을 연동한 퍼즐게임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6월 한빛소프트의 홍콩 자회사 브릴라이트 메인넷을 통해 출시를 목표로 내부 논의가 진행 중이다.
퍼블리싱 사업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중국 개발사와 계약을 맺고 올해 상반기에 게임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중국에 있는 개발사들과 하반기 출시할 게임을 물색하는 중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비엔엠홀딩스 자회사인 아이템베이와 아이템매니아 모두 성장성이 정체된 상황에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가 인수해 서로 윈윈하는 거래"라며 "파티게임즈도 개선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새로운 게임 개발 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트증권의 도전]글로벌 자본도 움직였다…김승연식 '증권모델'에 배팅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관리의 삼성' 5년간 제재는 '단 3건'
- 포스코의 이유 있는 '버티기'
- 카카오, 점프는 끝났다
- [그레이존 이사회 점검]세방전지, 기타비상무이사 출석률 높일까
- [그레이존 이사회 점검]모토닉 오너 '셀프' 배당세 감액 …사외이사 '견제 미비'
- [ROE 분석]현대해상, 두자릿수 이익률 이면에 자기자본 소실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LG그룹 전반적 부진, LG화학 '최하위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대우건설, 해외 토목 현장 관리에 달렸다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넥스플랜, '에테르노 압구정' 옆 '효성빌라' 추가 취득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