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운용, 한화증권 업고 리테일사업 확대하나 증권 판매망 통한 공모펀드 드라이브 가능성..대체투자 협업도 기대
김슬기 기자공개 2019-03-04 08:18:29
이 기사는 2019년 02월 27일 15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자산운용이 한화투자증권 키우기에 나섰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한화운용은 한화증권을 든든한 판매채널로 키워 운용자산을 키울 뿐 아니라 리테일 비즈니스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한화운용이 현재 계열사의 대체투자 거점이 되고 있는만큼 증권과의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최근 한화운용은 한화증권이 진행하는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했다. 한화운용은 한화증권의 보통주 4210만5264주, 지분율로 따지면 19.63%를 보유하게 됐다. 한화운용이 한화증권의 최대주주로 올라선 것이다. 한화운용은 현재 한화생명이 100% 지분을 보유한 곳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한화운용의 자산총계는 2118억원이며 이익잉여금은 1287억원 수준이다. 한화운용의 당기순이익은 226억원이었다.
한화운용은 지난 2016년 한화생명의 증권 운용사업부를 이관받으면서 운용자산 뿐 아니라 당기순이익이 급증했다. 2014~2015년 100억원대에 머물던 당기순이익이 2016년엔 200억원대, 2017년엔 300억원대 후반까지 확대됐다. 지난해에는 조직을 키우면서 인건비 등 영업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후퇴했으나 전체적으로는 사업을 키우고 있다.
한화운용은 이번 유증 참여를 통해 한화증권의 규모를 키워 든든한 상품 판매채널로 자리매김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화운용의 운용자산은 총 89조 4060억원에 달한다. 이 중 일임자산은 66조3927억원으로 전체 AUM의 74%를 넘어선다. 집합투자기구(펀드) 운용자산은 23조133억원이다.
한화운용이 굴리는 일임자산의 상당 부분이 한화생명 자금이기 때문에 큰 덩치에 비해 리테일 기반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theWM에 따르면 한화운용의 공모펀드 설정액은 7조5400억원 선이다. 전체 운용규모로는 국내 세 손가락 안에 들지만 공모펀드 규모만 보면 9위에 머물러있다.
한화운용 관계자는 "최근까지 한화증권의 리테일 파워는 그다지 크지 않은 편이었다"며 "한화운용 역시 리테일 기반이 넓지 않은데 한화증권을 통해 자사의 상장지수펀드(ETF) 및 타깃데이트펀드(TDF) 등의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1000억원대의 증자를 통해 당장 단번에 리테일 채널을 키우는 건 무리라는 평이 나온다. 한화증권의 리테일 기반은 그다지 탄탄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경영모토는 '모두의 더 나은 삶'으로 초고액자산가 서비스보다는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해, 공모펀드 투자에는 여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한화증권의 지난 1월 말 기준 공모펀드 판매잔고는 4조3446억원이다. 사모펀드를 포함한 전체 펀드 판매잔고는 18조2557억원이다. 증권사 중에서는 설정규모로 7위이다.
여기에 한화운용이 집중하고 있는 대체투자사업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운용은 대체투자사업본부를 크게 가져가고 있다. 국내부동산팀·국내인프라팀·해외부동산팀·해외인프라팀·대체LDI운용팀·대체투자기획팀 등 총 7개 팀으로 이뤄져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한화증권의 자본금 규모가 커지면서 한화운용과 협업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길 것"이라며 "증권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는만큼 IB쪽에서도 시너지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원트랜스폼과 파트너쉽 체결
- hy, 계절 맞춘 '잇츠온 박속 연포탕' 신제품 출시
- 'e빔 전문' 쎄크, 수요예측 흥행...IPO 공모가 최상단 확정
- [i-point]미래아이앤지, 수협은행에 'SWIFT ISO20022' 솔루션 공급
- 넥슨 '카잔' 흥행 비결은 '보스전·최적화·소통'
- [WM 풍향계]"금 팔까요? 살까요?" 엇갈리는 문의 급증
- 오라이언 이성엽, '메자닌' 안목 적중…코벤 성과 눈길
- 제일엠앤에스, CB 투자 운용사 어쩌나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표대결 아닌 설득에 초점…트러스톤 '대화형 주주행동'
- 연금 통합한 우리은행 WM그룹, 컨설팅 파트 간판 바꾼다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Deal Story]'5년만에 등장' 보령, 수요·금리 둘다 잡았다
- [Deal Story]'11배 수요 확인' HD현대건설기계, 5년물 초강세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금융지주 내 이익 비중 '0.08%'…반전 보여줄까
- 흑자전환 성공 패스트파이브, 외형·수익성 다 잡았다
- [발행사분석]'5년만에 시장 노크' 보령, 등급 상향 조건도 갖췄다
- [Policy Radar]회사채 캡티브 영업, 금리 왜곡 입증 가능할까
- [판 바뀐 종투사 제도]현실화 된 IMA '미래에셋 vs 한투' 2파전 가시화
- 우리금융, '최대 4000억' 신종자본증권 발행
- 유증 앞둔 이수페타시스, 관세 충격에 '혼돈'
- [Deal Story]'1위 사업자의 힘' 삼천리, 1조 수요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