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피' 수혈되자 변화 시작된 예스코홀딩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책임경영·주주가치제고' 정관 변경 '눈길'
박기수 기자공개 2020-04-28 08:44:21
이 기사는 2020년 04월 27일 16시1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S그룹의 도시가스 기업집단인 예스코홀딩스는 올해 들어 변화가 있었다. LS그룹의 3세 경영이 시작되면서 LS니꼬동제련에 있었던 구본혁 전무가 부사장 승진과 함께 예스코홀딩스의 경영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대표이사직까지 맡기로 했던 구 부사장(사진)은 준비가 덜 됐다는 판단에 약 10일 만에 대표이사직에서 다시 내려오는 '해프닝'도 있었다. 어쨌든 구 부사장은 미래사업본부장이자 사내 등기이사로 등재되며 예스코홀딩스의 새로운 젊은 경영인이 됐다.
우선 사업 목적 추가 건과 관련해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과 연관 짓는 해석이 많다. 예스코홀딩스의 본체인 예스코는 서울 권역 내 9개구(중구·광진구·성동구·동대문구·중랑구·종로구·용산구·성북구·서대문구)와 경기도 권역 내 3개시(구리·남양주·포천), 2개군(가평군·양평군) 등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고객의 빌링(Billing) 과정 등 전자화를 통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요소들이 적지 않다.
예스코홀딩스 관계자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차원에서 지주사에서 소프트웨어 등을 직접 개발 판매해 그룹 사업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변화는 지배구조에도 찾아왔다. 우선 책임경영 차원에서 사내이사의 임기를 2년에서 3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기존 사내이사였던 구자철 예스코홀딩스 회장과 구본혁 예스코홀딩스 미래사업본부장, 김창진 예스코홀딩스 투자부문장은 기존 임기가 2년이라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 다시 선임을 위한 의결 과정을 밟아야했다. 다만 이번에 정관 변경이 이뤄지면 더 오랜 기간동안 그룹 경영에 관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 지배구조연구소 관계자는 "통상적인 상장사들의 경우 사내이사들의 임기가 3년"이라면서 "예스코홀딩스 역시 책임경영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이사들의 임기를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주주가치 제고에도 나섰다. 예스코홀딩스는 지금까지 연 1회 배당만을 실시해왔다. 다만 이번 정관 변경 건이 통과하면 중간배당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가 생긴다.
예스코홀딩스는 최근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평균 배당성향(약 30%)보다 조금 더 높은 수준의 배당성향을 기록해오고 있었다. 2018년과 작년 예스코홀딩스의 연결 기준 배당성향은 각각 33.5%, 38%다. 다만 정관 변경 이후 중간배당을 시행할 경우 배당성향 역시 그만큼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예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주가 하락 등이 이어지는 등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라면서 "중간배당 시행 역시 그런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재무전략 분석]포스코퓨처엠과 한화에어로 유증이 다른 이유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가중부실자산비율 평균 0.19%, 하나생명 가장 높아
- [CFO & Credit]이현규 LG CNS 상무, 'AA0' 도약 조력자 역할 '충실'
- [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
- 현금 쌓고 확장하는 CATL, LG엔솔과 정반대 행보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