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M&A]포니정의 아들 정몽규, 무산된 모빌리티 꿈자동차 이어 항공으로, 건설업 편중 해소 차원 아시아나 눈독
이명관 기자공개 2020-09-14 09:34:02
이 기사는 2020년 09월 11일 17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HDC그룹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최종 무산됐다. 이와 함께 정몽규 HDC그룹 회장의 '모빌리티그룹' 도약은 수포로 돌아갔다. 모빌리티그룹으로의 도약은 정 회장의 오랜 염원이나 다름 없던 일이다.정 회장은 아시아나항공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지난해 11월12일 갑작스럽게 기자 간담회를 열고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고 이 자리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유를 밝혔다. 바로 '모빌리티그룹'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가 그것이었다. 정 회장이 모빌리티(Mobility)라는 단어를 이때 처음으로 언급했다.
특히 당시 기자 간담회는 이례적으로 진행됐던 만큼 정 회장의 의지를 엿볼수 있었다는 게 시장의 해석이다. 금호산업이 이사회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확정하자마자 간담회 자리가 마련됐다.
아직 우선협상대상자만 선정됐을 뿐 본계약 체결까지 갈길이 멀지만, 정 회장은 승전보를 알리는 자리를 만든 것이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에도 얼마든지 깨질 가능성이 높은 대형딜(Deal)이 채 끝나지도 않은 상황에서 오너가 직접 기자간담회를 자처했다는 것이 이례적이었다는게 업계 평가였다.
그도 그럴 것이 그동안 정 회장은 그동안 공식자리에 얼굴을 비추지 않았다. 정 회장 차제가 공식석상에 나설만한 외향적인 성격이 아니다. 실제 정 회장은 스스로를 내세우기 싫어하는 성격을 가진 인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이 매스컴을 탔던 것도 대부분이 대한축구협회 회장 직함을 달고서였다.
정 회장이 '모빌리티'에 사활을 걸었던 이유는 그룹내 해묵은 고민거리인 '건설 편중' 문제를 단번에 해소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 회장은 HDC그룹을 자산 10조원대 대그룹으로 키워냈음에도 '종합부동산·인프라그룹'에서 그 이상의 도약에 대한 갈증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지금은 코로나19로 '승자의 저주'가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작년 상황만 놓고 보면 아시아나항공은 탐낼만한 매물이었다.
특히 정 회장에게 모빌리티는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을 것으로 보인다. 젊은 시절 자동차에 온 힘을 쏟아낸 '모빌(Mobile) 맨'이었기 때문이다. 정 회장은 1991년 현대자동차 상무에 올랐고 1993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리고 만34세였던 1996년엔 현대자동차 회장직을 맡았다.
자동차산업을 향한 정몽규 회장의 열정은 10여년 만에 꺾였다. 1999년 현대가의 경영권 분란이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현대자동차의 경영권이 정몽구 회장에게 넘어갔다. 정 회장은 부친인 고 정세영 명예회장과 함께 현대산업개발로 적을 옮겼다. 이후 건설업에 매진해왔다. 현대산업개발을 10대 건설사로 키워내며 결과물을 만들어냈지만, 모빌리티에 대한 미련이 남았던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 정 회장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려는 모습을 두고 현대자동차 시절 못다이룬 '모빌리티 꿈'을 항공을 통해 이루려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던 이유다.

실제 정 회장은 자동차산업에 활용되던 제도들을 건설업에 도입하며 연결고리를 만들어나갔다. 건설업계 최초로 품질관리를 위한 '라인스톱제'를 도입한 게 그 시작이다. 라인스톱제는 자동차 제조라인에서 불량이 생기면 모든 생산 공정을 멈추는 형태다. 건설공사에서 이같은 제도가 도입된 것은 파격적인 일이었다. 이밖에 정 회장은 현대산업개발에 A/S 등 새로운 경영시스템을 도입, 건설현장의 오랜 관행이었던 '한묶음' 방식의 자재투입을 자동차 부품처럼 낱개로 바꿨다.
미련이 남아서일까. 정 회장은 아시아나항공 인수 포기를 선뜻하지 못했다. 재계 관계자는 "정 회장의 의중이 하루가 다르게 변했던 것으로 안다"며 "내부에선 이미 어느정도 인수 포기로 가닥이 잡혀있던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