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카카오게임즈' 투자 534억 회수 기생충·BTS 등 신산업 지원 결실, 9조 성장지원펀드 26% 소진
이종혜 기자공개 2020-09-25 07:57:48
이 기사는 2020년 09월 24일 17:2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문화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은행의 지원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다. 산업은행은 '카카오게임즈'(게임), '방탄소년단'(가수), '기생충'(영화) 등에 투자해 높은 투자수익률을 기록했다.최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카카오게임즈의 경우 2개 펀드 조성해 총 55억원을 투자해 534억원을 회수했다. 약 9.7배에 달하는 높은 투자 수익률을 기록했다.
산업은행은 "정책금융기관으로서 펀드 등을 활용해 은행의 전통적인 투자영역을 넘어 문화콘텐츠 산업 등을 포함한 신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수익도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은행은 지난 10여년간 펀드 출자사업을 통해 30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으며 그 중 약 45%를 신산업 분야에 투입했다. 특히 2018~2020년에 걸쳐 9조원 규모로 조성한 성장지원펀드는 지난 2년 간 2조4000억원을 기업에 투자 집행을 완료했다.
산업은행 벤처금융본부는 '스마트스터디'(핑크퐁, 아기상어), '리디'(국내 1위 전자책 플랫폼) 등 포함 신산업 분야에 지난 8월 말까지 전년 연간실적(1254억원)대비 160.6% 증가한 3268억원의 직접 투·융자를 신규 승인하는 등 과감한 자금지원을 실행 중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방탄소년단에 이은 카카오게임즈의 성공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 유니콘 기업 양성 뿐만 아니라 혁신성장 분야 육성을 병행해 향후 뉴딜 생태계 조성에 주도적 역할 수행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사면의 경제학 2.0]더 커진 '총수 역할론', 투자 확대로 숙제 풀까
- [사면의 경제학 2.0]5년 만에 '자유의 몸' 된 이재용, 글로벌 경영 박차
- [매니저 프로파일/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바이아웃 '딜 메이커' 백민우 상무
- 현대차그룹, 설익은 국내 투자계획… ‘홀대론’ 의식했을까
- [사면의 경제학 2.0]신동빈 체제 정상화…위기의 케미칼 반전 책임감
- [사면의 경제학 2.0]'사면 불발' 박찬구 회장, 금호석화 3세승계 속도 내나
- [사면의 경제학 2.0]강덕수 전 STX회장, 8년만에 족쇄 풀렸지만…친정 사라졌다
- [사면의 경제학 2.0]장세주 동국제강 회장 자유의 몸으로, 경영참여 본격화하나
- 효성첨단소재, GST 폴란드 사업장 정리...구조조정 '고삐'
- [ESG 등급 분석]기아, 첫 S등급으로 가는 길
이종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투자 혹한기 뚫은 직방, 1500억 자금 조달 뒷배는 '산은'
- [VC 출사표/프롤로그벤처스]신관호號 출항, ESG·테크 글로벌 기업 성장 조력자 자처
- [VC 출사표/프롤로그벤처스]스타트업의 글로벌마켓 정박 파트너 꿈꾼다
- [VC 출사표]자본금·대주주 요건 강화에 신기사 대기만 40여곳
- [thebell interview]이영신 씨어스 대표 "원격의료 풀스택, 스마트 의료 생태계 기여"
- 씨어스테크놀로지, 253억 프리IPO 유치
- 비하이인베스트, 230억 '스마트워터지역펀드' 조성 돌입
- 포티투닷 품는 현대차, FI·SI 간 밸류 산정 '줄다리기'
-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신성장펀드 조성 '탄력'
- 현대차그룹, 자율주행차 대어 '포티투닷' 인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