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CB 프리즘]'전환권 행사' 에이비프로바이오, 대주주 지배력 약화올 15차례 6863만주 발행, 최대주주 지분율 '20%→15%' 하락
신상윤 기자공개 2020-11-16 11:28:26
[편집자주]
전환사채(CB)는 야누스와 같다. 주식과 채권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지배구조와 재무구조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B 발행 기업들이 시장에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이유다. 주가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더 큰 경영 변수가 된다. 롤러코스터 장세 속에서 변화에 직면한 기업들을 살펴보고, 그 파급 효과와 후폭풍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0년 11월 12일 15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바이오 사업으로 체질개선에 나선 '에이비프로바이오(옛 유지인트)'의 전환사채(CB) 투자자들이 투자금 회수에 시동을 걸었다. 최근 주가가 전환가액과 두 배 이상 차이를 보이자 서둘러 주식으로 바꾸는 모양새다.에이비프로바이오는 올해 CB 투자자의 전환권 행사가 늘면서 최대주주 지분율이 연초 20%대에서 15%까지 희석된 상황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에이비프로바이오는 전날(11일) 종가 1145원을 기록했다. 지난 10일 종가 1080원을 기록한 데 이어 이틀 연속 1000원대를 유지했다. 연초 700원대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이란 평가다.
주가가 오르자 CB 투자자가 먼저 움직였다. 에이비프로바이오는 지난해 10월 말 메리츠증권을 대상으로 14회차 CB를 발행했다. 메리츠증권은 이달 4일을 시작으로 6일과 11일 등 총 세 차례에 걸쳐 전환권을 행사했다.
발행 예정인 주식은 총 1753만7938주다. 발행 주식 총수 2억4286만9249주의 7.2% 수준이다. 신주는 오는 19일과 26일 각각 상장될 예정이다.
에이비프로바이오 14회차 CB는 발행 당시 전환가액이 1290원이었다. 그러나 시가 하락 영향으로 지난 3월 593원까지 조정됐다. 14회차 CB는 액면가(500원)까지 조정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하고 있다.
에이비프로바이오 주가 반등은 바이오 사업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초 공작기계 사업을 영위했던 회사는 경영권 변경 과정을 겪으면서 바이오 사업을 진행했다.
지난해 8월 미국 생명공학기업 'Abpro Corporation'의 IAN YAN PUI CHAN 회장 등을 이사진에 참여시키고 바이오 사업에 속도를 냈다. 그러나 그동안 주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최근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코로나19 치료제 관련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CB 전환권 행사는 지배력 희석 효과를 낳는다. 실제로 에이비프로바이오는 올해 15차례에 걸친 전환권 행사가 이어졌다. 올해 행사된 전환권으로 발행된 보통주는 6863만5013주다.
이 물량은 발행 주식 총수의 28.3%에 달한다. 그 결과, 연초 20%를 웃돌았던 최대주주 '베리타스투자조합'과 특수관계자 지분율은 15.1%로 희석된 상황이다.
에이비프로바이오가 발행한 CB 가운데 현재 전환권 행사가 가능한 물량은 36억원 규모만 남았다. 전환권을 행사해 주식으로 발행될 수 있는 주식의 물량은 607만주를 웃돈다. 이 주식이 발행되면 베리타스투자조합과 특수관계자 지분율은 14.7%까지 희석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 더본코리아, 생산시설 초과 가동…수요확대 대응 과제
- '버거킹' BKR, 최대 실적에도 치솟은 부채비율 '왜?'
- 훨훨 나는 올리브영, 지분투자 성적표는
- 이수진 야놀자 대표 "글로벌 AI 기업과 협업 확대"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위축된 경영 여건…투자로 활로 모색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이사회, 기타비상무·사외이사 추가 구성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경쟁력 원천 '포천 석산'에도 업황 탓 고전
- 현대건설, 수익성 8% 목표…TSR 주주환원 첫 도입
-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도약"
-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평택 반도체 훈풍 속 입주
- [건설부동산 줌人]'김한영호' 한국종합기술, 신재생에너지 강화 낙점
- DB그룹, DB월드에 부동산 개발 역량 결집한다
- 현대건설, 뉴에너지사업부 핀셋 조직개편
- [건설부동산 줌人]동아지질, '해외통' 정경수 신임 대표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