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동 현대트랜시스 사장 "현대차 뒷받침 최선" 하반기 임원인사서 유임, 코로나 위기 속 실적 선방·현금 확보 성과 영향
김경태 기자공개 2020-12-18 15:41:41
이 기사는 2020년 12월 17일 16:2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하반기 임원 인사에서 계열사 대표이사 가운데 여수동 현대트랜시스 사장의 거취가 주목받았다. 계열사로의 이동 등 여러 관측이 나왔지만 남은 임기를 모두 채울 전망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선전한 실적을 거둔 점 등을 고려해 재신임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여 사장은 이번 인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번 인사를 앞두고 일각에서는 여 사장이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다른 계열사로 이동하는 등 현대트랜시스를 떠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하지만 여 사장은 결과적으로 유임됐고 현대트랜시스를 지속적으로 이끌게 됐다.
여 사장은 17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향후 계획을 묻는 질문에 "현대트랜시스의 사업인 변속기, 시트사업 등은 모회사인 현대차 경쟁력을 어떻게 강화할거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앞으로도) 그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 사장은 영남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1985년 당시 현대그룹 계열사였던 현대중공업에 입사했다. 그 뒤 1991년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에 합류하며 훗날 만들어질 현대차그룹의 임원으로 올라설 초석을 다졌다.
그는 그룹 내에서도 손꼽히는 '기획통'이다. 2003년 현대차 감사기획팀장이 됐다. 2005년에는 현대차 호주법인장을 역임하며 국제 감각을 키웠다. 2009년에는 현대차 경영지원실장으로 근무했다. 2011년2분기부터 요직 중 하나인 기획조정2실장을 맡기 시작했고 약 8년간 역임했다.
그 뒤 2019년 현대트랜시스 대표이사 사장으로 발령받았다. 현대트랜시스의 전신은 변속기와 액슬, 시트 등을 제조하던 현대다이모스다. 2019년1월 그룹 계열사 현대파워텍을 흡수합병하며 현대트랜시스로 거듭났다.
그룹 주요 부품사의 안정적인 새 출발을 이끌어야 하는 중책을 맡게 된 셈이었다. 여 사장은 부임 초기 통합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선제적으로 진단해 최소화하도록 했다. 다른 두 개 조직의 문화를 융합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춰 체인지(CHAIN-G)라는 조직 문화 슬로건을 선포하기도 했다.
합병 첫 해인 작년 현대트랜시스의 연결 매출은 7조6780억원으로 전년보다 79.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720억원으로 19.6%, 당기순이익은 1301억원으로 143.8% 늘었다.
올 들어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렸지만 선방했다. 3분기 누적 연결 매출은 5조13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8% 줄었다. 영업이익은 448억원, 당기순이익은 132억원으로 각각 68.6%, 87.7% 감소했지만 흑자를 유지했다.
현대트랜시스 관계자는 "애초 사내에서는 여 사장이 인사 대상자가 아니라는 쪽으로 알고 있어 유임은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최적 타이밍' 롯데몰 광명점 딜클로징, 교공·과기공 '방긋'
- 베어링PEA, PI첨단소재 인수금융 조달 '불확실성' 뚫을까
- [남양유업 M&A 법정다툼]갑자기 등장한 '재매각시 우선협상권', 2주만에 소멸
- [로펌 빅7 M&A 전략]김진오 김앤장 변호사 "글로벌 톱티어 책임감, 차별화된 자문 강화"
- [로펌 빅7 M&A 전략]법률시장 개방 맞선 김앤장, ‘단 하나의’ 월드클래스
- 한앤코, SKC PET필름사업 인수자금 조달 구조 '고심'
- IFC 파는 브룩필드, 초유의 ‘3차 입찰’ 패착되나
- '북미 부동산 타격' 미래에셋운용, IFC 딜클로징 변수되나
- '해외 투자 경고음' 미래에셋운용, '4600억' 워싱턴DC 빌딩도 파나
- '불확실성 고조' 미래에셋운용, 미국 1750K 빌딩 매각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