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우오현 회장 '조력자' 박도순 이사장, 삼라 떠났다 2014년 취임 뒤 근 7년 만, 경영 일선 퇴진 수순 …삼라희망재단 이사장만 유지
고진영 기자공개 2021-02-22 13:25:09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8일 18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오현 SM그룹 회장의 오랜 조력자인 박도순 삼라희망재단 이사장이 ㈜삼라 대표직을 내려놨다. 대표를 맡은지 6년 반 만이다.그간 우 회장과 함께 그룹 계열사 경영에 참여해왔으나 앞으로 재단 이사장만 맡기로 했다. 사실상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박 이사장은 올해 1월 15일 ㈜삼라 대표이사에서 물러났다. 후임으로는 조유선 우방산업 대표가 선임돼 ㈜삼라 대표를 함께 맡는다. SM그룹 관계자는 “계열사별로 경영효율화를 진행 중이고 이런 차원의 인사”라고 말했다.
우방산업은 지난해 5월 ㈜삼라가 토목과 건축공사업을 떼어내면서 분할설립됐다. 존속법인인 삼라가 국내외 투자증권 및 주식소유업을 영위하는 구조다. 계열사별 전문성을 높이고, 특성에 맞는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지배구조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분할을 추진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삼라가 여전히 시행사업 등은 하고 있다.
SM그룹 관계자는 이번 대표 교체를 두고 “계열사별로 경영효율화를 진행 중이고 이런 차원의 인사”라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당초 삼라산업개발㈜ 대표도 겸하고 있었으나 이 회사는 작년 9월 그룹 계열사인 에스엠스틸㈜에 흡수합병됐다. 삼라 대표에서도 물러놨으니 그룹 경영에는 더 이상 참여하지 않는 셈이다. 다만 삼라희망재단 이사장을 계속 맡으면서 SM그룹과의 인연은 이어간다.
1958년 7월생인 박 이사장은 우오현 회장을 오래 보좌해온 인물이다. 삼라 설립 초창기부터 우 회장을 도와 그룹을 일궜다. 삼라㈜의 주주로 처음 등장한 것은 2009년이다. 당시 지분율은 3.64%였다. 2010년 1월에는 사내이사로 취임했고 2014년 6월에는 대표이사로도 취임해 올 초까지 회사를 이끌어왔다.
㈜삼라는 그룹내 지배구조의 최정점에 있을 뿐 아니라 우 회장과 다른 계열사들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한다. 우오현 회장이 최대주주로 지분 68.81%를 쥐고 있고 ㈜삼라가 다시 남선알미늄, SM스틸, 우방, SM중공업, SM상선, SM인더스트리, SM하이플러스 등 14개 법인의 지분을 직접 보유 중이다. 이런 삼라의 대표를 박 이사장이 7년 가까이 맡았으니 그룹 경영에 가장 깊숙히 관여해온 인물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또 우 회장이 사회공헌을 위해 2012년 삼라희망재단을 설립한 뒤로는 초대 이사장을 그가 맡았다. 2018년에는 박 이사장이 보유 중이던 ㈜삼라 지분 전량인 1만7625주(4.18%)를 삼라희망재단에 기부하기도 했다. 삼라희장재단은 박 이사장으로부터 받은 삼라 지분을 전량 우선주로 바꿨기 때문에 우 회장의 지분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 성과 평가]조선업 활황에…HD현대그룹 상위권 '독식'
- [the 강한기업/현대그린푸드]분할 2년, 외형 대신 얻은 순현금
- [the 강한기업/현대그린푸드]범현대가 급식소…'해외 성장 활로' 열렸다
- [이자비용 분석]LG디스플레이 '조단위' 이자 탈출…재무개선 신호탄
- [이자비용 분석]이마트 삼킨 이자비용, 5000억이 전부일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IPO자금 들어온 엠앤씨솔루션…보유현금 왜 줄었나
- [재무전략 분석]'긴축 모드' LG헬로비전, 1000억대 추가 손상 배경은
- [상장사 배당 10년]포스코홀딩스, 18년 전으로 돌아온 배당규모 사정은
- [the 강한기업]'고생 끝에 낙' 오는 DN오토모티브
- [유동성 풍향계]'승승장구' 올리브영, 6000억대 사옥 인수 체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