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기술투자, 첫 ESG 채권 다음 기회에 녹색채권 취소, 사용처 적격성 불확실
남준우 기자공개 2021-02-24 13:04:04
이 기사는 2021년 02월 23일 17:1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기술투자(A-, 안정적)가 사상 첫 ESG 채권 발행을 검토했지만 부족한 기관 투자자 수요와 채권 사용처 적격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발행 계획을 접었다.23일 포스코기술투자 관계자는 "ESG 채권 발행을 검토하며 신용평가사와 주관사 등에 문의했지만 채권 사용처 적격성 문제, 기관투자자 수요 부족 등으로 발행 계획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포스코기술투자는 1997년 설립된 신기술 사업 금융업자다. 포스코 고객사를 대상으로 하는 철강부문 대출(스틸론)과 비철강부문 대출(인수금융, 부동산금융) 등이 주요 사업이다. 2020년 3분기말 기준 포스코가 95%, 포항공대 5%의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다.
포스코기술투자는 검토 당시 녹색채권 발행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녹색채권은 친환경 사업 등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사용처가 이에 국한된다.
포스코기술투자는 1월 말경 녹색채권 검토를 위해 신용평가기관 등에 문의를 넣었다. 하지만 포스코기술투자 내부에서 녹색채권 사용처 적격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A- 등급, 높은 사업 변동성 등도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가 충분하지 않았던 이유로 파악된다.
연초 A급 회사채 투심은 견고하나 A- 등급 발행사는 23일 기준 한화건설과 SK건설 뿐이다. 건설채의 경우 작년에는 코로나19로 투심이 악화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뜨거워진 분양 열기 등의 특수성 때문에 기관투자자 투심이 회복됐다.
반면 포스코기술투자는 자산포트폴리오 리스크가 발목을 잡은 것으로 파악된다. 신용평가업계는 자산포트폴리오가 대부분 기업금융, 투자금융으로 구성돼 리스크가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총자산 기준 시장점유율도 0.3% 내외로 업계 하위권 수준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롤코리아 경영권 확보 완료
- 위세아이텍, '사업 경쟁력 강화' 각자 대표 체제 출범
- '렌탈 1위' 코웨이, 후발주자들과 격차 더 벌렸다
- 네이버, '페이머니 통장'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모색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SK시그넷, 자회사 시그넷에너지 '유증자합병' 이유는
- 넷마블, 블록체인 우군 25곳…MBX 글로벌 확장 속도
- 드림어스컴퍼니, 주가하락에 CPS 전환 요원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캄보디아 진출 16년 유안타, 현지화로 시장선점 '결실'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League Table]클럽딜 주도 블록딜 시장…JP모간, 골드만 제쳤다
- [thebell League Table]위축된 시장, 'LG ES 효과' KB 선두 수성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에디슨이노, 주전공 '의료기기' 두고 전기차로 눈돌렸다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나노씨엠에스, 안정적 매출...'해외 잭팟'은 불발
- 직상장 실패 라이콤, 스팩 합병으로 '선회'
- [Rating Watch]SK렌터카, 등급 상향에도 공모채 발행 '쉽지않네'
- 하나금투, 470억 대형 스팩 만든다
- [Rating Watch]'A급 강등' 강릉에코파워, 조달비용 상승 '가시화'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