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분석]현대위아, 보수위 신설..사내이사 포함 의미는사내이사 1인+사외이사 2인 구조
김서영 기자공개 2021-03-22 11:28:16
이 기사는 2021년 03월 18일 15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위아가 보수위원회를 신설해 지배구조 개선에 힘쓰는 현대자동차그룹의 기조에 발을 맞춘다. 보수위원회에 사내이사가 포함돼 있다는 점은 효율성과 독립성 측면에서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18일 현대위아에 따르면 오는 24일 개최되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관을 변경해 보수위원회 설립을 공식화할 예정이다. 이로써 현대위아는 이사회 산하에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보수위원회 등 4개의 소위원회를 두게 됐다.
현대위아는 현대차그룹에서 네 번째로 보수위원회를 신설하게 됐다. 그룹에서 가장 먼저 보수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현대모비스다. 2019년 3월 현대모비스를 시작으로 같은 해 10월에 현대자동차가, 이듬해 9월 기아가 보수위원회를 설치했다.
현대로템도 현대위아의 뒤를 이어 보수위원회를 설치한다. 지난해 12월 열린 이사회에서 운영 규정을 개정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보수위원회 신설을 위한 정관 변경을 추진한다. 아직 보수위원회 구성원은 정해지지 않았다.
눈에 띄는 점은 보수위원회에 사내이사가 포함됐다는 점이다. 현대위아 보수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2인(안성훈·김은호)으로 구성됐다. 사내이사인 신문상 재경본부장이 속해 있다. 감사위원회 및 투명경영위원회가 전원 사외이사로만 구성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 보수위원장은 안성훈 사외이사가 맡았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보수 한도 등에 대한 적정성과 보수 체계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투명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보수위원회를 설치했다"라며 "보수가 재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재경본부장을 선임하게 됐다"라고 선임 이유를 밝혔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주요 계열사의 보수위원회 구성을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보수위원회를 두고 있는 현대차그룹 주요 계열사는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 등이 있다. 이들 계열사의 보수위원회는 사내이사 1명과 사외이사 2명으로 꾸려져 있다. 위원장은 사외이사가 맡는다.

현대차 보수위원회의 경우 2019년부터 1년간 이원희 사장이 구성원으로 참여했다. 이 사장은 기업전략 및 재경 부문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 말 이 사장이 빠지고 사외이사 2인(윤치원·이병국) 구성으로 운영되고 있다. 윤치원 이사가 위원장을 수행 중이다.
현대모비스 보수위원회도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2인으로 꾸려졌다. 사외이사인 배형근 재경부문장이 함께 속해 있다. 유지수, 칼 토마스 노이먼(Karl-Thomas Neumann) 사외이사 가운데 유 이사가 보수위원장을 맡았다. 기아 보수위원회 역시 마찬가지다. 사내이사에 최준영 경영지원본부장이, 사외이사에 한철수·김덕중 이사가 활동 중이다. 보수위원장은 한 이사다.
다만 사내이사의 보상위원회 참여가 관행처럼 이어지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관계자는 "사내이사가 보수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은 양날의 검과도 같다"라고 말했다.
KCGS 관계자는 "사내이사는 회사 내부 사정과 경영 성과를 파악하고 있어 성과 보상 체계 잘 아는 내부 전문가지만, 본인 스스로 회사의 이해관계자이기 때문에 보수 책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설명을 덧붙였다.
한편 현대위아 정기 주총에서 이사 및 감사의 보수 한도를 45억원으로 결정한다. 현대위아의 이사 및 감사의 보수 한도는 공시로 확인할 수 있는 2009년부터 12년째 45억원으로 동결돼 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삼쩜삼, 가입자 2300만명 돌파…성과와 과제
- 'K콘텐츠전략펀드' GP 2곳 선정 그쳐…재공고 예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HL디앤아이한라, 지방주택 현장 공사비 회수 '착착'
- [건설리포트]동문건설, 수주목표 '1.2조' 실적 반등 나선다
- 인창개발, 가양동 CJ 공장부지 매입 5년 만에 착공
- [디벨로퍼 리포트]KT에스테이트, '호텔사업 호조'에 역대 최대 실적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건설리포트]부영주택, 저조한 분양 탓 수익성 회복 고전
- [thebell note]모듈러 주택, 진가를 발휘할 때
- [건설리포트]우미건설, '분양 호조' 힘입어 외형 성장
- [건설부동산 줌人]신영부동산신탁, '증권 출신' 김동현 신탁사업부문장 낙점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