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십 시프트]새 주인 맞는 세종메디칼, 유상증자 쪼개는 이유는①정관상 신주 발행 한도 초과 탓, SI 타임인베스먼트 250억 출자
김형락 기자공개 2021-08-09 07:42:01
[편집자주]
기업에게 변화는 숙명이다. 성장을 위해, 때로는 생존을 위해 변신을 시도한다. 오너십 역시 절대적이지 않다. 오히려 보다 강력한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경영권 거래를 전략적으로 활용한다. 물론 파장도 크다. 시장이 경영권 거래에 특히 주목하는 이유다. 경영권 이동이 만들어낸 파생 변수와 핵심 전략, 거래에 내재된 본질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1년 07월 30일 15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세종메디칼'이 비상장사 '타임인베스트먼트' 품에 안긴다. 타임인베스트먼트가 세종메디칼 유상증자에 참여해 최대주주 지분을 형성하는 경영권 거래구조를 짰다. 신주를 대거 발행하면서 정관도 뜯어고친다. 타임인베스트먼트가 기존 정관 발행 한도를 초과하는 신주를 청약하기 때문이다.복강경 수술기구 제조업체 세종메디칼은 550억원 규모 자금 조달 일정을 내놨다. 경영권 변경 계약과 맞물린 투자다. 전략적투자자(SI)인 타임인베스트먼트가 가장 많은 자금을 댄다. 세종메디칼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250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구주 매입 없이 신주만 취득해 최대주주로 올라선다.

경영권 구주 지분도 FI가 분담한다. 현 최대주주인 정현국 대표이사와 특별관계자 지분 58.25%를 '엠오비컨소시엄', '1-13호 마사 신기술조합 제44호'가 나눠서 인수한다. 거래 규모는 757억원이다. 잔금일은 다음달 27일이다.
타임인베스트먼트는 두 차례로 나눠 자금을 납입한다. 정관상 250억원을 한꺼번에 납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세종메디칼은 정관에 일반 공모 증자 외에 나머지 신주 발행 한도를 발행주식총수의 20% 이내로 설정했다. 코스닥 상장 법인 표준 정관상 신주 발행 한도인 20%를 준용했다. 하지만 타임인베스트먼트가 청약한 신주 물량은 발행주식총수의 40%(271만1096주)에 이른다.

타임인베스트먼트는 정관 위배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같은 발행 조건으로 유상증자 금액을 절반으로 쪼개기로 했다. 먼저 다음달 25일 1차로 125억원을 출자한다. 신주는 정관 기준을 충족하는 발행주식총수의 20%(135만5548주)다. 신주 발행가액은 기준 주가에 할인율 9.95%를 적용한 9220원이다. 2차로 나머지 125억원은 오는 9월 10일 지급한다.
눈길을 끄는 건 1차와 2차 납입일 사이 정관을 손보기로 했다는 점이다. 타임인베스트먼트는 2차까지 유상증자 대금을 납입해야 지분 28.57%(271만1096주)를 가지고 세종메디칼 최대주주에 오를 수 있다.
세종메디칼은 오는 9월 3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에 정관 개정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신주인수권 발행 한도는 발행주식총수 대비 100%까지로 늘릴 방침이다. 코스닥 상장 법인 표준 정관보다 상향한 기준이다. 신주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을 기존 사업 관련 공동 기술 개발 등에 투입하기 위해서다.
정관 개정은 주총 특별결의 사안이다. 최대주주 우호 지분이 과반을 점유하고 있어 안건 통과는 무리 없이 진행될 것으로 풀이된다. 특별관계자를 포함한 정 대표 지분은 58.32%다.
타임인베스트먼트 자금력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지난해 말 자산총계는 127억원이다. 자체 재무여력으로 유상증자 대금 납입이 어려운 형편이다. 이재철 타임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가 지분 100%를 보유한 개인회사다.
세종메디칼 관계자는 "두 건의 유상증자는 법무법인 자문을 구해 진행하고 있다"며 "최대주주 지분이 있어 정관 개정은 순조롭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oard Change]현대백화점그룹, 사추위·보상위서 사내이사 제외
- [그레이존 이사회 점검]세방전지, 기타비상무이사 출석률 높일까
- [주총 안건 리뷰]우양, 오너가 이사 선임 부결 이유는
- [주총 안건 리뷰]크리스에프앤씨, 세무 전문가 셋으로 늘리지 못해
- [밸류업 성과 평가]주주 행동 나선 기업들 '중위권' 포진
- [이슈 & 보드]한화에어로, 이사진이 요구한 공모 유증 규모 축소
- [주총 안건 리뷰]케이프, 2대주주가 정관 개정 요구하는 이유
- [주총 안건 리뷰]율촌화학, 감사위원회 공석 채울 방안은
- [주총 안건 리뷰]태광산업, 사추위 추천 후보 1명 부결된 이유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많은 보상 바라지 않아…소득은 본업에서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