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부산은행 자산건전성 안정화...보수적 관리 '결실' [은행경영분석]NPL비율 최초 0.4% 하회, 커버리지비율 역대 최고…음식·숙박업 밀착관리
김현정 기자공개 2021-11-02 08:05:51
이 기사는 2021년 10월 29일 11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부산은행이 자산건전성 개선세를 3분기에도 이어나갔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이 역대 최초로 0.4%를 하회했다. 이번 분기 NPL 매각도 없었다는 점에서 건전성 안정화가 양호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BNK금융지주가 28일 내놓은 ‘2021년 3분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3분기 말 기준 부산은행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0.37%로 집계됐다. 올 1분기 말 0.67%에서 2분기 말 0.42%로 크게 하락한 이후에도 3분기 0.05%포인트 추가 하락을 이끌어냈다.
고정이하여신 뿐 아니라 '요주의여신'까지 꾸준한 하락세라는 점에서 더욱 긍정적이라는 평이다. 은행들은 대출자산을 △정상 △요주의 △고정이하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단계로 분류한다. 요주의 여신은 연체 기간이 1~3개월인 채권으로 현재 채권 회수에 문제가 없지만 앞으로 신용 상태가 나빠질 위험이 있는 대출금으로 분류된다. NPL에 들어가진 않지만 잠재부실가능 채권이라는 의미를 지니는데, 부산은행은 고정이하여신 뿐 아니라 요주의여신까지 지속적인 감소추세인 것이다.
부산은행은 요주의여신이 2020년 3분기 말 기준 8157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기준 6140억원까지 줄어들었다. 요주의여신비율도 같은 기간 1.8%에서 1.16%로 낮아졌다.
이 같은 성과는 NPL 매각 없이도 이뤄낸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이다. 부산은행은 3분기 매각은 진행하지 않고 여신 221억원 규모의 상각만을 실시했다. 최근 1~2년 상매각 규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올해 누적 상각액은 일 년 전보다 51% 감소했고 매각액은 16% 줄어들었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우량여신 위주의 성장을 4년 정도 지속하다보니 이제 매각할 게 없다”며 “상매각 규모가 확실히 줄고 있으며 이번 분기에는 매각액이 워낙 거의 없던 만큼 4분기에 조금 모아서 매각할 것 같다”이라고 말했다.

부산은행의 자산건전성 수치는 단기에 이뤄진 성과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부산은행은 최근 4년 간 부실가능채권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왔다. 특히 2017년 하반기부터 위험징후 가능성이 높은 7개 조선 및 철강업체에 대한 신용등급을 기존 요주의에서 고정이하로 재분류하는 등 기업여신을 보수적으로 관리했다.
최근 들어 성과가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는 평이다. 2019년 초만 해도 0.7%가 넘었던 부산은행 기업여신 연체율은 감소세를 지속해 올 3분기 말 기준 0.28%까지 낮아졌다.
부산은행의 보수적 자산 관리는 대손충당금 커버리지비율에서도 나타난다는 평이다. 부산은행 커버리지비율은 205.7%로 일 년 전보다 무려 2배가량 높아졌다. 지방은행 중 최고 수준이다.
이렇듯 충당금이 넉넉한 상황이지만 환입은 실시하지 않을 예정이다. 코로나19 이후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다. 현재 건설업이 좋아지는 한편 지역 부도·도산 감소 추세가 지속되며 이익 안정성을 높이고 있지만 음식·숙박업 등 코로나19 피해업종의 동향이 심상치 않다는 평이다. 다만 충당금이 이미 충분하고 각각의 여신 규모가 작다는 점에서 충분히 관리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커버리지비율이 이렇게 높았던 때가 없었다”며 “코로나19 상환유예 프로그램 종료 등 대비가 철저히 이뤄지고 있으며 밀착 관리 업종은 모니터링을 통해 유심히 살피고 있는 만큼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삼쩜삼, 가입자 2300만명 돌파…성과와 과제
- 'K콘텐츠전략펀드' GP 2곳 선정 그쳐…재공고 예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김현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로 간 기업인]애플 CEO가 나이키 사외이사…한국 이사회와 '온도차'
- [이사회로 간 기업인]‘CEO 출신’ 사외이사 환영하는 기업들
- [이사회로 간 기업인]업종 뛰어넘은 사외이사의 조건
- [이사회로 간 기업인]사외이사 영입의 법칙, ‘조력자를 찾아라’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이사회 지원 조직, 정보 비대칭에 기여…보완점도 많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의사결정시 오너·대표 영향력 여전히 막강
- [thebell interview]“10년을 내다보는 전략, NEXT SK 이사회의 과제”
- [thebell interview]SK식 삼권분립…이사회가 힘을 갖다
- [이사회로 간 기업인]기업 돈줄 '금융업'·밸류체인 잘 아는 '제조업' 출신 인기
- [이사회로 간 기업인]100명 중 20명…귀한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