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등급 분석]대상, 에너지 효율 높여 100억 벌었다'비용절감·등급개선' 두토끼 잡아, 친환경 연구소 신설 등 기후변화 대응
문누리 기자공개 2021-11-17 08:19:28
이 기사는 2021년 11월 16일 08:3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ESG평가 통합등급을 B에서 A로 올린 대상그룹이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ESG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효율 등으로 총 100억원가량의 부가수익과 비용절감 효과를 산출해 환경 등급을 크게 올렸다. 향후 친환경 연구소(마곡 R&D센터)를 신설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에도 나선다는 전략이다.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최근 발표한 2021년 ESG 등급 부여 현황에 따르면 대상홀딩스와 대상㈜은 통합등급으로 'A'를 받았다. 작년 B에서 두 계단 올랐고 내년엔 A+까지 노리고 있다.

세부항목인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등도 모두 개선됐다. 대상홀딩스 환경부문은 C에서 A로, 사회는 B에서 A+로 각각 세 계단씩 올랐다. 지배구조는 B에서 B+로 한 등급 상향됐다.
특히 환경 분야는 대상홀딩스로선 아픈 손가락이었다. ESG등급 평가를 받은 초반부터 C등급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KCGS가 올해부터 자회사 활동까지 지주사 활동으로 간주하는 등 산정 기준을 변경하면서 대상㈜의 ESG등급 개선이 지주회사 대상홀딩스에도 영향을 줬다.
대상㈜의 환경 등급은 B에서 A로, 사회는 B+에서 A+로 각각 두 단계 올랐다. 지배구조도 B에서 B+로 상향됐다.
이를 위해 그룹 통합 ESG 프로젝트팀을 신설해 각 계열사와 부문별로 중점 목표와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등 체계적인 활동을 추진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ESG 경영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처음 펴내기도 했다.
KCGS은 공개된 정보만을 기초로 등급을 산정하기 때문에 ESG경영 전략의 효과를 숫자로 산출해 알리는 전략이 중요하다. 대상㈜는 그동안의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국내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KVER)에 등록해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받았다. 해당 감축량은 약 55억원의 부가 수익으로 돌아왔다.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4년 구성한 '에너지효율 솔루션 프로젝트(EES)' 팀의 성과를 숫자로 산출하기도 했다. 에너지 효율 향상 관련 투자를 통해 약 46억원의 비용 절감 실적을 거뒀다. 현재 해당 팀은 BIO군산공장에서 에너지경영시스템 사전컨설팅 정부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임정배 대상㈜ 대표는 올해를 'ESG경영 원년'으로 삼고 친환경 전략 등을 고도화했다. 구체적으로 기흥공장에 온실가스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효율 압축기를 도입했다.
올 4월에는 식품업계 최초로 폐페트병을 업사이클링한 친환경 유니폼을 제작해 현장에 배포했고, 8월에는 분리 배출이 용이한 무라벨 패키징 방식을 도입한 간장 제품을 선보였다. 또 친환경 종이소재 쇼핑백을 활용하기도 했다.
올해 대상이 생산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포장재 비율은 65%에 달한다. 대상㈜는 추후 다른 제품에도 친환경 패키징 방식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향후 대상그룹은 올해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기점으로 ESG경영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대상그룹 관계자는 "내년 6월 말 완공 예정인 마곡 연구개발(R&D)센터에 지열과 태양열 등을 활용한 시설을 구축해 전체의 11%를 친환경 에너지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LH는 달라졌나]새로운 지향점, 경영혁신·주거복지 '두 토끼' 잡기
- [건설사 프롭테크 전략 돋보기]GS건설, '오너 4세 주도' 고객과 소통 채널 강화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에디슨이노, 주전공 '의료기기' 두고 전기차로 눈돌렸다
-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사법 리스크 완전히 털었다
- 한국테크놀로지, 최대주주 20회차 CB 주식 전환
- 코리아센터 "몰테일, 해외 물류센터 간 직접 거래 증가"
- 카나리아바이오, 글로벌 임상 3상 환자 모집 50% 달성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대신증권, 하이엔드 주거·코어오피스 차별화 역점
- 도원동산개발 '디폴트', 동산동 사업지 공매로
- [LH는 달라졌나]투기 사태 혼란에도 '역대 최대 실적'
문누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멀티플렉스 리오프닝 전략]CJ CGV, MZ세대 '경험소비' 특별관 키운다
- [멀티플렉스 리오프닝 전략]'만년 3위' 메가박스, 스크린 투자 대신 '콜라보' 꽂혔다
- [2022 더벨 경영전략 포럼]"'디지털·탄소·공급망' 글로벌 대전환 통합 대응 필요"
- [멀티플렉스 리오프닝 전략]롯데컬처웍스, 대표 직속 'SI TF' 특수관 꾸린다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CJ, 10여년만에 '부적격 임원 선임' 항목 개선
- 경영주기 바꾼 아모레, 방판조직 수술대 올리나
- '지배구조 보완' 신세계인터, 대표·임원선임 규정 신설
- '최현규 체제' ESG 경영 직접 들여다본다
- [유통사 골프장 경영분석]한화호텔앤드리조트, 회원제 '플라자CC' 영업익 급증한 까닭은
- CJ CGV, 포스트코로나 조달전략 'CB'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