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상장 전 내부 조직 정비 '착착' 플러스티브이·스트리스 흡수합병…650억 규모 스톡옵션 제공
김슬기 기자공개 2021-11-30 08:16:01
이 기사는 2021년 11월 29일 11:4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기업공개(IPO) 전 사전 조직 정비 작업을 착착 진행하고 있다. 최근 인수한 스트리트와 플러스티브이를 모두 흡수합병하기로 했고 직원들에게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했다. 본격적인 IPO 레이스에 앞서 제반 작업을 한 것이다.29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플러스티브이와 스트리스를 흡수합병할 예정이다. 두 곳 모두 지난 3분기에 인수한 곳으로 카카오모빌리티가 주식 100%를 소유하고 있다.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진행한다. 회사 측은 "경영효율성 증대 및 기업가치 향상"을 위해서 합병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플러스티브이는 2016년 설립된 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션 기업으로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제공을 하고 있다. 원격으로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영상이나 이미지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플러스티브이의 택시용 인터랙티브 광고매체인 '택시플러스'를 활용, 사업과 접목할 방안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업체의 인수가액은 총 80억원이었고, 영업권으로만 75억원을 책정했다.
스트리스는 2017년 만들어진 고정밀지도(HD맵) 시스템 개발 스타트업으로 도로 정보 수집, 정보 가공 및 정합, 고정밀 지도 도화, 사용 형태별 맞춤형 최적화에 이르는 HD맵 구축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내비게이션, 배차, 라우팅 등의 모빌리티 기술에 HD맵을 접목할 계획이다. 국내 자율주행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봤다. 총 80억원에 인수됐고, 이 중 78억원이 영업권이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사업에 따라 CMNP(대리운전)와 마이발렛(주차), 티제이솔루션(택시) 등으로 나눠 별도 법인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합병하는 두 회사는 모두 소프트웨어 기업이기 때문에 본사와 합치는 게 더 낫다고 판단했다. 두 회사의 규모도 크지 않다. 플러스티브이의 2020년도 매출액은 15억원, 당기순이익은 5000만원이었고 스트리스는 매출액 11억원, 당기순손실 4억원이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M&A 기업의 조직 통합 뿐 아니라 직원들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등 IPO 사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달 초 카카오모빌리티는 714만여주의 신주를 채정식 CMNP 대표를 비롯, 410명의 직원들에게 배정했다. 총 규모는 650억원 정도다. 채 대표는 대리기사 배차 프로그램 2위 업체인 콜마너의 대표기도 하다.
이번 스톡옵션 행사가액은 9094원이다. 카카오모빌리티가 가장 최근 지분투자를 받은 곳은 지난 7월 GS그룹이었다. GS칼텍스와 GS에너지에 주당 6만3770원에 주식을 발행했다. 이후 카카오모빌리티가 1주당 3주를 신주배정하는 무상증자를 진행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종적으로 가장 최근 책정된 1주당 지분 가치는 1만5942원이다. 직원들은 외부 투자자들에 비해 40% 가량 할인된 가격에 지분을 매입할 권리가 생긴 것이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8월 중단됐던 IPO 주관사 선정 작업을 재개했다. 주관사 선정을 마치면 내년 중으로는 IPO를 완주하겠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피에스케이, 인적분할 통한 지주사 변신 노림수는
- [Rating Watch]넷마블, 2년만에 AA '반납'…주범은 '고정비 상승'
- NH증권, IPO 부서장 파격 인사 '80년대생 반란'
- [IPO 모니터]새빗켐, 보수적 피어그룹...'2차전지 기업' 딱 한곳
- SK에코플랜트, CPS 포함 '1조' 프리IPO 성사
- 'GS이니마 품은' 글로벌워터솔루션, K-IFRS 적용
- [디벨로퍼 열전]DS네트웍스, 옛 KT강동지사 주거 개발 '돌입'
- SK디앤디의 '넥스트 이야기'
- LH, 재무위험기관 선정 될라 '노심초사'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미래에셋증권, 실물자산 줄이고 NPL 투자 비중 확대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워치/쏘카]이창재 CFO, 국내 모빌리티 1호 IPO 주역될까
- [지배구조 분석/골프존뉴딘홀딩스]골프존데카, 자회사에서 손자회사로 변경
- 쏘카, 상장 고려한 소위원회 구성…ESG위원회도 꾸렸다
- [지배구조분석/카카오엔터프라이즈]'3조→2.5조'로 낮아진 기업가치 아쉬움
- 스튜디오드래곤, '넷플릭스·네이버' 유치한 저력은
- 콘텐츠 왕국 스튜디오드래곤, 공격적 확장 '방점'
- 하이브, 주주가치 지표 25%만 준수
- 네이버파이낸셜, 2025년이 가지는 의미는
- 하이브, 'BTS 쇼크'로 스톡옵션에도 불똥
- 국내 1위 꿈꾸는 티빙, 국내·외 연합전선 구축 '잰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