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대박 H&Q, 1세대 존재감 재확인 [2021 PE 애뉴얼 리포트]머니멀티플 9배 '함박웃음', 4호펀드 투자 분주
김경태 기자공개 2021-12-14 08:08:26
이 기사는 2021년 12월 13일 14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1세대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 H&Q코리아에 올 한해는 그 어느 때보다 의미가 깊었다. 3호 블라인드펀드로 투자한 잡코리아 엑시트(투자금 회수)에서 시장을 놀라게 하는 성과를 거두며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HK이노엔 투자금 일부 엑시트도 순조롭게 진행됐다.H&Q는 만족하지 않고 다음 스텝을 준비하는데 분주하다. 4호 블라인드펀드를 활용한 투자에도 나서며 '제2의 잡코리아'로 키우기 위해 바삐 움직이고 있다. 기존에 벤처캐피탈(VC)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성장 기업에 대한 투자도 단행하며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와신상담' H&Q, 잡코리아 대박에 함박웃음…HK이노엔 엑시트 시동
H&Q는 2013년 11월 5642억원 규모의 3호 블라인드펀드(케이에이치큐제삼호)를 만들었다. 당시 국민연금을 비롯, 국내를 대표하는 출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5000억 이상의 펀드를 결성한 사례로 주목받았다. 특히 H&Q가 2호 블라인드펀드에서 일부 부진한 점이 있던 상황이라 3호 블라인드펀드의 향방에 이목이 집중됐다.
잡코리아는 3호 블라인드펀드의 첫 타깃이다. H&Q는 2013년 몬스터닷컴으로부터 잡코리아 지분 49.9%를 9000만달러(한화 960억원)에 인수했다. 잡코리아의 성장 가능성을 확신한 H&Q는 2015년 1100억원을 들여 잔여지분 50.1%를 매입했다.
잡코리아는 국내 취업포털 1위 업체다. H&Q 체제에 돌입한 뒤 잡코리아가 운용하는 아르바이트 포털사이트 알바몬도 활발한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높였다. 이 외에 게임·애니메이션 전문 리쿠르팅 게임잡, 대학생들에게 유익한 공모전·인턴 정보가 공유되는 캠퍼스몬 등 여러 사이트가 연계된 종합 취업포털로서 입지를 강화했다.
H&Q는 이미 3년 반 전에 투자 원금 대부분을 회수했다. H&Q는 지분 100% 매입대금 약 2000억원 중 약 44% 정도를 인수금융으로 충당했다. 나머지는 3호 블라인드펀드가 활용됐다. 2018년에 우리은행과 한국투자증권을 대표 주선사로 선정하고 차환(리파이낸싱)을 추진해 약 800억원을 회수했다. 당시 경영실적이 좋아 투자자들이 목표를 웃돌게 모이는 '오버부킹'이 생기기도 했다.
잡코리아 엑시트는 2020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했다. 올 2월 진행한 본입찰에는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CVC캐피탈, TPG아시아, MBK파트너스 등 쟁쟁한 재무적투자자(FI)들이 출사표를 내밀었다.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를 최종 인수후보자로 낙점했다. 기업가치(EV) 기준 9000억원에 매각하며 투자 원금 대비 머니멀티플 약 8.5배를 기록했다.

H&Q는 HK이노엔 투자금 일부를 회수하는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했다. H&Q는 2018년 4월 한국콜마가 HK이노엔(옛 CJ헬스케어)을 인수할 때 미래에셋PE, 스틱인베스트먼트와 FI로 참여했다. 당시 3호 블라인드펀드를 활용해 주당 3만2000원에 매입했다.
올 들어 HK이노엔이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면서 투자금 회수를 시도했고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우선 구주매출을 통해 보유 주식 440만6250주 중 174만6789주를 공모가인 주당 5만9000원에 처분했다. 지난달 26일에는 시간외매매로 79만7838주를 주당 5만6240원에 매각했다.
◇'제2의 잡코리아' 만들자…H&이루자·렌딧 투자
올해 H&Q는 신규 투자를 집행하는 데도 분주한 시간을 보냈다. H&Q는 지난해 10월 4호 블라인드펀드를 조성했다. 2013년 3호 블라인드펀드 이후 약 7년 만에 조성 작업을 매듭지었다. 약정총액은 5062억원 규모다.
H&Q는 4호 블라인드펀드의 첫 타깃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히든챔피언인 H&이루자다. H&이루자는 반도체와 평판디스플레이 생산용 장비 제조사다. 작년 고용노동부 주관 강소기업에, 올해는 산업통상부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으로도 선정됐다.
H&Q는 올 4월경 H&이루자가 발행한 약 1000억원 상당을 교환사채(EB)를 매입하는 형태로 투자를 단행했다. 투자를 담당한 H&Q의 이정진 공동대표와 이민훈 전무가 올 3월 기타비상무이사로 취임해 이사회 참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4호 블라인드펀드의 두 번째 투자처로는 렌딧을 낙점했다. H&Q는 올 7월 10일 504억원을 투자해 렌딧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313만435주를 매입했다. H&Q에서 투자를 담당한 임유철, 이종원 공동대표는 같은 달 기타비상무이사로 취임했다.
렌딧은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 스타트업이다. 다른 P2P업체와 달리 개인신용대출에 집중하면서 경쟁력을 확보했다.
김성준 렌딧 대표는 올 10월 더벨과 인터뷰에서 H&Q의 투자금을 활용해 우선 적극적인 인재영입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실력 있는 개발자 등을 대거 채용해 신용평가모형 등을 더 고도화시키는 등 개인신용대출 분야에서 압도적인 지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H&Q는 4호 블라인드펀드를 활용한 추가 투자처 발굴에도 전력하고 있다. 다양한 매물을 검토하고 있으며 내년에 새로운 투자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