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진산업, 용산 일대 보유 부동산 가치는 보유 중인 건물 5개동 가치 5000억 이상, IMM인베 투자금 크게 상회
감병근 기자공개 2021-12-20 08:16:13
이 기사는 2021년 12월 17일 10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MM인베스트먼트의 포트폴리오 기업인 부동산 임대업체 나진산업이 서울 용산역 일대에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가치에 관심이 쏠린다. 최근 매각한 나진전자월드를 기준으로 하면 잔존 부동산 가치만 5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IMM인베스트먼트가 나진산업 지분 전량을 매입하는 데 투자한 비용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1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나진산업은 서울 용산역 일대에 나진전자월드(용산구 한강로 1-1외 1필지)를 제외하고 5동의 건물을 실질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나진전자월드는 아직 소유권자가 나진산업으로 등기돼 있지만 현대엘리베이터가 1004억원에 매입한다는 공시를 한 상태다.
이 5동의 건물은 △용산구 한강로2가 15-2외 2필지(1번) △용산구 한강로2가 15-13(2번) △용산구 한강로3가 1-3외 1필지(3번) △용산구 한강로3가 3-23(4번) △용산구 신계동 35-18(5번) 등에 위치해 있으며 용산전자상가 사거리 일대에 모여 있다.
이 건물들은 모두 나진전자월드만큼 개발돼 있지는 않다. 나진전자월드가 지하 3층~지상 7층 규모인 반면 1번·2번·4번 건물은 지하1층~지상 3층, 3번·5번 건물은 지상1층의 단층 건물로 파악된다.
하지만 부동산업계에서는 이 건물들 중 일부는 그 가치가 나진전자월드보다 오히려 높을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용산전자상가 건물들은 재개발 계획에 따라 토지의 규모가 가격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부동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용산전자상가 일대의 건물은 토지 규모 만으로 가격이 결정된다고 봐도 된다”며 “나진전자월드도 새 주인이 재개발을 염두에 두고 있어 사실상 토지 거래로 볼수 있다”고 말했다.
나진전자월드는 토지면적이 2965㎡다. 이번에 매각가가 1004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3.3㎡당 토지 가치가 대략 1억1000만원이라는 추산이 가능하다. 나진산업이 보유하고 있는 5개 건물의 토지면적은 △1번 7316㎡ △2번 6340㎡ △3번 359㎡ △4번 1993㎡ △5번 217㎡이다.
이 토지는 용도구역도 나진전자월드 부지와 같다. 이에 따라 3.3㎡당 1억1000만원의 가격을 적용하면 △1번 2420억원 △2번 2110억원 △3번 110억원 △4번 660억원 △5번 70억원 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나진산업이 나진전자월드를 매각하고도 5370억원 달하는 가치를 지닌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IMM인베스트먼트가 나진산업 지분 전량을 인수한 금액을 크게 웃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2017년 나진산업 지분 100%를 취득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지분 73.05%를 먼저 매입하고 나머지 지분 26.95%를 이후 매입하는 구조로 계약이 이뤄졌는데 인수금액은 총 3000억원 가량으로 알려졌다.
나진산업은 나진전자월드 외에도 지난해 시행사 서부티앤디에 용산구 한강로3가 2-8에 위치한 건물을 950억원 가량에 매각했다. IMM인베스트먼트가 경영권을 인수한 이후 부동산 매각을 통해 이미 2000억원 가량의 현금이 나진산업으로 유입된 셈이다. 현재 상황이라면 IMM인베스트먼트는 부동산 매각만으로도 높은 수익률 기록하며 나진산업 엑시트에 성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부동산업계에서는 나진산업이 보유한 전자상가들이 분양 상가가 아닌 임대 건물로 처분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용산전자상가 일대에는 선인상가 등 분양 상가가 여럿 있다. 분양 상가의 경우 구분 소유자가 많다. 매각 시 이들 모두의 동의를 얻어야하기 때문에 거래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지아이이노베이션 창업주 장명호, 4년만에 대표 복귀
- [달바글로벌 road to IPO]'콜옵션' 행사 위한 구주매출…'경영권 강화' 진행 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하반기 출범' 안다글로리, 전략 다양화 개시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코웨이 주총 D-3, '표대결' 관전포인트는
- JB운용, '최원철 대표' 꽂힌 CR리츠 4곳 추진
- 삼성증권, '기관전용 PEF 사업' 채비 장기화
-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 환율 상승에 수익률 부진
- 하이일드펀드 여건 변화, 채권 운용에 무게 실린다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League Table]김앤장, 1위 지켰다...세종·광장 초박빙 2위 경쟁
- [한화 아워홈 인수추진]'펀딩 순항에도…' 삼녀, 한화 딜 클로징에 의구심 지속
- '일정 변경 없다' SK에코플랜트, 내년 7월 IPO 간다
- 스텔라인베스트먼트, 청과물 도매법인 구리청과 인수
- [LP Radar]2년 만에 재개' 교공 PE 출자, LOC 확보 하우스 강세 전망
- [프로젝트펀드 앵커LP 점검]교직원공제회, 우량 딜 선별투자 기조 이어간다
- 한앤코, SK해운 벌크선 2척 우양상선에 매각
- 테일러메이드 매각의 '관용성'
- 'KJ환경 볼트온 시동' EQT파트너스, JS자원 품는다
- 엠플러스자산운용 본입찰 임박, 웨일인베·키스톤PE 도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