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투엔 "주 사업 안정적…유동성 기반, 펀더멘털 강화" 자체 신약 개발·스틸드럼 영업 피해 無, 신라젠 이슈와 무관 "코스닥위 긍정 결과 받을 것"
신상윤 기자공개 2022-01-28 08:47:05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8일 08:4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엠투엔이 신라젠으로 인한 우려를 씻고 펀더멘털과 주 사업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기업가치 제고에 나선다.엠투엔 관계자는 28일 "최근의 주가 하락은 단기적인 공포감에 의한 것"이라며 "자체 신약 개발 사업과 스틸드럼 사업 등 실질적인 영업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지난 18일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가 코스닥 상장사 '신라젠'에 상장폐지 결정을 내린 후 최대주주인 엠투엔 주가도 연일 하락세다.

재무적으로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엠투엔은 지난해 3분기 말(별도 기준) 현금성 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등은 486억원에 달한다. 풍부한 자금력을 구축한 만큼 신라젠 이슈에 엠투엔이 흔들린 상황은 아니란 것이다.
신라젠 지분가치에 대한 부분도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엠투엔 관계자는 "신라젠에 600억원을 출자했을 때 실사와 가치평가를 바탕으로 결정한 것"이라며 "신라젠의 미래 사업 전망을 평가해 인식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신라젠 임상은 미국 파트너 '리제네론'이 제안한 것으로 '펙사벡'과 면역항암제 '리브타요'를 병용한다. 임상 결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돼 기간을 조금 더 늘리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라젠도 자금 문제는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3분기 말(별도 기준) 신라젠의 현금성 자산은 1130억원 규모다. 보유하고 있는 네오이뮨텍 지분을 포함하면 1200억원이 넘는다는 것이다. 임상 및 기업 운영에 충분한 자금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엠투엔은 신라젠의 상장 관련 최종 결정은 코스닥시장위원회에서 결정된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엠투엔 관계자는 "솔고바이오와 코드네이처, 경남제약, 엠피대산 등 기업심사위원회 상장폐지 결정에도 최종적으로 상장을 유지한 기업들 사례를 참고할 것"이라며 "코스닥시장위원회의 긍정적인 결과를 받기 위해 신라젠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날개 단' 미래컴퍼니, 연간 수치 뛰어넘는 영업익 달성
- [블랙스톤의 귀환] '주특기'된 부동산 투자, 광폭 행보 '채비 완료'
- 한패스, 과기부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사업' 선정
- [IR Briefing]롯데케미칼, 자사주 소각 가능성 솔솔
- 조직 만들고 인재 영입하고…고려아연, 자원순환 사업 본격화
- 현대차·기아, 21조 '국내 투자' 발표 시점 '눈길'
- 포스코 러브콜 '하이드로럭스', 61억 시리즈A 클로징
- '가이던스' 이면의 근거
- '변신하는 포스코홀딩스' 한축 담당할 한영아 상무
- 'IR에 진심' 스튜디오드래곤, 투자자와 대화도 공개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날개 단' 미래컴퍼니, 연간 수치 뛰어넘는 영업익 달성
- 한패스, 과기부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사업' 선정
- [Company Watch]'새 출발' 스킨앤스킨, 수익성 잡고 M&A로 변화 모색
- [유증&디테일]이화전기공업, 경영진 의지 담은 '30% 할인율'
- 마이더스AI, 철강 자회사 합병 '별도 매출 1000억 달성'
- [유증&디테일]이화전기공업, 주주우선공모 카드로 시간 단축
- 마이더스AI, 특수강 전문 '제이슨앤컴퍼니' 인수 완료
- [유증&디테일]'연 1회꼴 증자' 이화전기공업, 경영정상화 열쇠 눈길
- '수익성 개선' 광림, 특장차 교체 수요 덕봤다
- 신성이엔지, 사업부문 동반성장 속 흑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