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최대 매출' 솔루엠, 다음 목표는 현금흐름 개선영업이익률 5→2%대, 제조원가 상승 탓…차입금 규모도 점점 확대
황선중 기자공개 2022-02-18 08:25:15
이 기사는 2022년 02월 16일 09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전자부품 제조업체 '솔루엠'이 사상 최대 매출에도 웃지 못하고 있다.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영업이익이 반 토막 났고, 게다가 원재료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과정에서 늘어난 재고자산 탓에 현금흐름마저 악화하고 있어서다. 부진한 현금흐름은 차입금 증가라는 악재까지 낳고 있다.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유가증권 상장사 '솔루엠'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1521억원, 영업이익 266억원으로 잠정 집계했다. 매출액은 전년과 비교해 약 7.0% 증가해 창사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2.7% 감소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5%대를 유지하던 영업이익률도 2%대로 내려앉았다.
매출과 수익성 사이 엇박자는 제조원가 상승에서 비롯됐다는 설명이다. 주요 원재료인 반도체 가격 상승과 물류대란에 따른 운송료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치솟았고, 결과적으로 수익성이 저하됐다는 것이다. 여기에 2020년 11월부터 가동된 멕시코 공장의 각종 초기 비용도 제조원가로 반영됐다.

눈여겨볼 부분은 지난해 재고자산 규모가 많이 늘어났다는 점이다. 지난해 3분기 말 재고자산 규모는 3688억원으로, 2020년 말(1356억원)과 비교해 171.9% 급증했다. 재고자산은 4분기에도 증가 흐름을 보인 것으로 전해진다. 솔루엠 관계자는 "지난해 원재료 선확보 차원에서 재고자산 규모를 늘렸다"고 말했다.
통상 재고가 쌓이면 수익성은 개선되는 경향을 보인다. 회계상 재고자산이 늘면 매출원가(기초재고자산+당기제조원가-기말재고자산)는 줄기 때문이다. '재고자산 증가→매출원가 감소→매출총이익 증가→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지는 구조다. 솔루엠 입장에선 재고자산 증가분이 제조원가 상승분을 일부 상쇄하면서 영업이익 하락폭을 줄인 모습이다.
하지만 재고가 늘면서 운전자본(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 부담이 커진 점은 문제다. 지난해 3분기 말 솔루엠의 운전자본은 3049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말(915억원) 대비 233.2% 증가한 수치였다. 운전자본이 누적된다는 것은 기업의 영업활동 과정에서 묶여 있는 자금이 늘고 있다는 이야기다. 현금 유입에 차질이 생겼다는 뜻이다.

이로 인해 기업의 현금창출력을 가늠하는 지표인 영업현금흐름도 지난해 기점으로 마이너스(-) 기조로 돌아섰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솔루엠의 영업현금흐름은 2020년 말(420억)보다 크게 악화한 -1759억원으로 나타났다. 투자현금흐름과 재무현금흐름은 각각 -432억원, 2181억원이었다.
부족한 현금은 차입금으로 메우는 상황이다. 지난해 3분기 말 단기차입금은 1993억원으로, 2020년 말과 비교해 962억원 증가했다. 장기차입금은 같은 기간 252억원 늘었다. 부채비율은 2018년 말 1269.7%에서 숱한 노력 끝에 지난해 1분기 121.2%까지 낮췄다. 하지만 매분기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다시 188.8%까지 올라간 모습이다.
2015년 9월 삼성전기 디지털모듈(DM) 사업부에서 분사하며 설립된 솔루엠은 삼성전기 부사장직을 역임했던 전성호 대표가 이끌고 있다. 1959년생인 전 대표는 서울고 및 홍익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최대주주는 지분 16.85%를 보유한 전 대표이고, 2대 주주는 9.30%를 가진 삼성전기다.
솔루엠 관계자는 "올해는 수익성에 악영향 미치는 요소들이 해소될 것으로 보여 영업이익이 평년 수준으로 회복되리라 본다"면서 "유동성은 아직 기업공개(IPO) 자금도 존재하는 만큼 여유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이뮨온시아 IPO]'모기업·신약' 기대감, 기관 엑시트에도 몸값 두배 커졌다
- 세아제강, 허리띠 졸라맸지만…영업현금흐름 '마이너스 전환'
- [현대제철을 움직이는 사람들]'기술통' 이보룡 부사장, 판재사업 정상화 '전면에'
- [LCC 통합 전초전]자회사에 '2800억' 쏜 아시아나, 현금곳간 '빠듯해졌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한화큐셀 박승덕 사장, 복귀 4년만에 대표 내정
- E&F PE, 코엔텍 매각 개시…차주 티저레터 배포
- [i-point]신테카바이오, 중기부 ‘산학연 Collabo R&D’ 사업 선정
- 디지털 자격증명, 일상 속으로…전환 초읽기
- [Monthly Review/인사이드 헤지펀드]KB증권 선두 고수 지속…NH증권과 경쟁 가열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위메이드, 매출 줄었지만 현금은 늘어났다
- [Company Watch]넥슨, 1분기 확 달라진 현금흐름 '4배 UP'
- [IR Briefing]펄어비스, '붉은사막' 연내 출시 확실시
- [IR Briefing]엔씨소프트 "내년 매출 최대 2.5조 달성할 것"
- [IR Briefing]컴투스 "케이뱅크·SM엔터 지분 처분할 것"
- [IR Briefing]1분기 주춤한 컴투스홀딩스, '신작 8종' 승부수
- '호실적' 넷마블, 증권가 목표주가도 '줄상향'
- 김병관 전 웹젠 의장, 기대작 출시 앞두고 '저점 매수'
-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규모의 경제' 해법 통할까
- 위메이드, 닥사와 2차전…법원 판단 달라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