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캐피탈, 4개월만에 2000억 추가 유상증자 결산배당액 285억…전년 대비 67.65% 증가
이기욱 기자공개 2022-03-17 08:15:18
이 기사는 2022년 03월 16일 14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농협금융지주가 NH농협캐피탈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에 나선다. 지난해 11월 레버리지 배율 개선 등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던 농협캐피탈은 4개월만에 또 한 차례 동일한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냈던 농협캐피탈은 올해에도 늘어난 자본금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6일 업계에 따르면 농협캐피탈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2000억원 상당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새로 발행되는 주식의 수는 총 1459만8540주며 발행가액은 1만3700원이다. 농협캐피탈은 농협금융지주의 100% 자회사기 때문에 자금은 모두 농협금융지주에서 나온다. 납입예정일은 오는 30일이며 해당 자금은 농협캐피탈의 운영자금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올해부터 강화되는 금융당국의 레버리지배율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지난해 2월 금융당국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유동성 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하며 올해부터 비카드 여신전문회사의 레버리지 한도를 기존 10배에서 9배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비카드 여전사의 레버리지배율 규제는 오는 2025년 카드사와 동일한 8배까지 낮아질 예정이다.
레버리지배율은 기업의 타인자본 의존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회사의 자산이 자기자본의 몇 배에 달하는 지를 나타내준다. 배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자본을 늘리거나 자산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자본 확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영업자산을 확대하지 못하는 등 경영에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 9월말 농협캐피탈의 레버리지배율은 8.84배로 당국의 규제 수준에 근접했다.
이에 농협캐피탈은 지난해 11월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으며 이번에 불과 4개월만에 또 한 차례 증자에 나섰다. 지난해 실시된 유상증자가 2018년 2월 이후 3년 9개월만에 실시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자본 확충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자회사들의 자금 수요를 파악한 후 자회사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농협캐피탈은 96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584억원) 대비 64.39% 증가한 수치다. 이자이익은 1241억원에서 1156억원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수수료손익이 276억원 손실에서 3억원 이익으로 흑자 전환했다.
이러한 실적 증가는 전체적인 영업자산 확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농협캐피탈의 영업자산은 5조8516억원으로 전년말(5조6091억원) 대비 4.32% 증가했다. 오토리스, 개인신용대출 등 소비자금융 부문 자산이 3조5127억원에서 3조7059억원으로 5.50% 늘어났으며 기업 및 투자금융 부문 자산도 2조964억원에서 2조1458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유상증자를 통해 늘어난 자본금을 바탕으로 영업자산 확대를 이어갈 경우 올해에도 호실적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건전성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지난해말 기준 농협캐피탈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10%로 3분기(1.13%) 대비 0.03%포인트 개선됐다.
농협캐피탈의 지속적인 성장은 농협금융에게도 배당수익 증가 등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농협캐피탈은 매년 고배당을 실시해온 효자 계열사 중 하나다. 올해 역시 지난해 순익의 29.70%에 해당하는 285억원을 배당하기로 결정했다. 배당성향은 전년(29.12%)과 동일하지만 순익 증가에 힘입어 배당액은 67.65% 늘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더본코리아 거버넌스 점검]구색 갖춘 사외이사, 법조계 일색 '아쉬움'
- 삼성E&A, '본드콜' 발생 태국 플랜트 계약 끊어냈다
- [건설리포트]BS한양, 에너지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수익성 입증'
- 제이알투자운용, 역삼 '삼원타워' 매각…투자 13년만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코오롱글로벌, 원가 절감 숨은 공신은
- [건설리포트]일성건설, 외형 축소 속 원가율 개선 '성과'
- 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 [현대건설 SMR 리포트]미래 성장동력 '차세대 원전', 밸류업 해법될까
- [영상]잘 나가는 현대차에 美관세 변수, 이승조 CFO의 재무전략은
- 롯데EM, 동박 미 관세 면제에 K배터리간 경쟁 '심화' 전망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노큐브의 비전 바이오 생태계 조력자 'End to End' 지원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CGT 전방위 협업, 넥스트는 확장성·안정성 강점 'zCAR-T'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표면적으론 CAR-T 사업화, 숨은의미 제약업 'CGT 주도권'
- [thebell interview]알지노믹스, 일리 1.9조 빅딜 유전자 편집 플랫폼 확장 핵심
- 오상헬스, 엔데믹 부진 끊고 '흑자'…"기대할 것 더 있다"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조카에 유리한 신주상장 가능 결론…이사 유지 가처분 주목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대형사 맞선 선제투자, 패러다임 전환 구심점 '이노큐브'
- 휴젤, 주가도 '차석용 매직' 순익보다 많은 주주환원
- [Sanction Radar]관세 두렵지 않은 GC녹십자, 알리글로 美 고마진 전략 유지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태생부터 '협업 DNA', 투자로 다져진 70년 성장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