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게이트 지배구조 개편]비상장 기조 고수, 권혁빈 리더십 방향은④'로스트아크' 대박, 자금여력 충분…외부투자 유치 필요성↓
황원지 기자공개 2022-04-27 14:39:10
[편집자주]
스마일게이트그룹이 창립 20주년을 계기로 지배구조 개편에 나섰다. 주력 사업인 게임 및 엔터테인트먼트 부문과 별개로 벤처캐피탈과 자산운용사를 떼어내 금융전문그룹을 만들 예정이다. 지배구조 개편이 어떻게 이뤄질지, 개편에 따른 계열사 정리 시나리오를 살펴보고 이후 스마일게이트그룹의 향방을 가늠해본다.
이 기사는 2022년 04월 22일 15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스마일게이트그룹 지배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상장(IPO)에 소극적이란 점이다. 창업자 권혁빈 최고비전제시책임자(CVO)가 대부분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번 금융그룹 분리도 결국 오너의 이쪽 주머니에서 저쪽 주머니로 바뀌는 격이다.여느 게임사와 달리 스마일게이트는 왜 IPO를 고려하지 않는 것일까. 권 CVO가 지분 희석을 극도로 경계하는 것도 있지만 최근 '로스트아크'의 대박으로 자금여력이 충분한 터라 IPO 필요성이 현저히 낮다는 점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자금 부족했던 스마일게이트RPG, 로스트아크로 상황 반전
스마일게이트홀딩스의 자회사 스마일게이트RPG는 2019년 5월 미래에셋대우를 상장주관사로 선정하고 IPO 시장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상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보통 주관사 선정 이후 3년 이내에는 상장을 마무리짓는 게 관행인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상황이다.
스마일게이트RPG는 상장을 추진하던 당시 여력이 좋지 않았다. 대형신작 로스트아크 개발에 돈을 투입해야 했기 때문이다. 2016년 자회사로 분사한 후 3년간 250억~390억원 수준의 영업손실이 지속됐다. 로스트아크 출시 직전인 2018년엔 자본금을 모두 소진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당시 단기차입과 전환사채를 동원해 180억원을 수혈했으나 기말 현금성자산은 140억원 수준에 불과했다.
지주회사인 스마일게이트홀딩스도 계속해서 자금을 투입하긴 어려웠다. 홀딩스는 2016~2017년 유상증자를 통해 400억원을 수혈해 줬다. 2018년에도 120억원의 단기차입금을 빌려줬다. 하지만 스마일게이트의 주요 수익원이 '크로스파이어' 하나였던 만큼 로스트아크가 실패할 경우 끝없이 자금을 투입하긴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로스트아크 흥행 이후로 상황이 반전됐다. 2019년 12월 출시된 로스트아크는 첫 해에는 중박 정도의 성과를 냈다. 그러다 지난해 역주행에 성공하면서 실적이 급등했다. 지난해 스마일게이트RPG의 당기순이익은 2289억원으로, 재작년(83억원)과 비교해 27.6배 증가했다.

현재 스마일게이트RPG의 재무상태 추가 자금공급이 필요없는 수준이다. 재작년까지 990억원이 넘게 쌓여있던 결손금은 지난해 수익으로 모두 상쇄됐다. 현금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작년 말 기준 자본총계는 2215억원, 현금성자산은 2998억원을 기록했다.
◇지배구조 개편 후에도 IPO 유인 낮아
과거 크로스파이어 출시 후 곳간이 바닥났을 때 MVP창업투자(현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로부터 투자받은 돈도 몇 년 안 돼 다 상환했다. 이는 권혁빈 CVO의 오랜 신념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 CVO는 창업시절 벤처캐피탈에서 투자를 유치했다가 회수압박을 겪은 뒤로 외부투자를 달갑지 않게 생각한다고 전해진다.
비상장사인 덕분에 로스트아크에 장기 투자도 가능했다. 상장할 경우 투자자인 주주들의 요구가 있기에 적자상태인 자회사를 오래 유지하기 어렵다. 로스트아크는 2011년 개발에 착수해 7년간 약 1000억원 규모의 개발비를 투입한 작품이다. 외부투자자가 없었던 덕분에 권 CVO의 의지만으로 적자 개발사에 7년 넘게 도와줄 수 있었고 출시 후에도 과금모델(BM)을 과하지 않게 넣을 수 있었다.
이번 그룹 지배구조 개편도 RPG 상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스마일게이트RPG가 상장할 경우 지주사의 주주인 권 CVO는 지분가치 평가이익을 누릴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 금융그룹을 만드는 이유가 돈보다는 국내 창업 생태계 지원에 있는 만큼 자회사 상장에 급할 이유가 없다. 현재 스마일게이트RPG의 현금여력이 충분하다는 점도 여기에 힘을 싣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투밸류, '글로벌리서치배당인컴' 월지급형 내놓는다
- [thebell note]VIP운용의 ‘최애 양성소’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저력 보여준 씨앗운용, '페어트레이딩' 적재적소 활용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교보증권 인하우스, 새 중심축 'V-롱숏'
- 라이프운용, 채권혼합형으로 '라인업 다양화'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한국증권, GWM-PB라운지 '투트랙' 전략
- 한국증권, 첫 고액자산가 특화점포 연다
- [영상] 30억 금융 자산가는 증권사 가면 어떤 서비스 받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