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경영분석]부산은행, 우수한 건전성 바탕으로 기업대출 확대대출 증가에도 부실 여신 감소…위험업종 공격적 영업
이기욱 기자공개 2022-05-02 07:57:05
이 기사는 2022년 04월 29일 15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부산은행이 우수한 자산건전성을 바탕으로 호실적을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지난 1년동안 대출 영업을 크게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잠재 부실 위험이 있는 여신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타 경쟁은행에 비해 중소기업대출 등에 보다 공격적으로 나설 수 있었고 대손충당금 전입액 규모도 줄일 수 있었다.지난 1분기 부산은행은 총 128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952억원) 대비 순익증가율은 34.7%로 같은 그룹의 경남은행(63.9%)보다는 낮지만 대구은행(29.7%), 전북은행(22.5%), 광주은행(22.4%) 등 다른 경쟁은행들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대구은행(1187억원)을 약 100억원 차이로 따돌리고 1등 지방은행 자리를 지켰다.
부산은행의 실적 개선은 이자이익 증가에 기인했다. 수수료부문 이익은 289억원에서 252억원으로 12.8% 감소했으나 이자이익이 3005억원에서 3447억원으로 14.7% 늘어났다. 금융당국의 규제로 확대가 쉽지 않은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을 크게 늘렸고 그중에서도 대기업에 비해 금리가 높은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대출을 확대했다.
지난 1분기말 기준 부산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31조507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28조6090억원)대비 10.1% 늘어났다. 대기업대출도 2조801억원에서 2조2568억원으로 8.5% 늘어났으나 그 증가액은 1767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가계대출 잔액은 15조9297억원으로 4.3% 증가하는데 그쳤다.
지난 1분기 부산은행의 기업대출 수익률은 3.22%로 가계대출의 수익률 3.07%를 0.15%포인트 상회하고 있다. 가계대출의 경우 지난해 4분기 2.80%에서 3.07%로 0.27%포인트 높아졌고 기업대출은 2.91%에서 3.22%로 0.31%포인트 상승했다. 수익성이 높은 기업대출의 증가가 이자이익 확대로 이어진 것이다.
특히 부산은행은 향후 경기 상황에 따라 부실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는 업종들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영업을 펼쳤다. 대표적으로 음식·숙박업 대출이 지난해 1분기 1조8952억원에서 2조2520억원으로 18.8% 늘어났다.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에서 4.4%로 높아졌다.
부동산업 대출 역시 9조2202억원에서 10조7822억원으로 16.9% 증가했다. 전체 대출 내 비중은 19.6%에서 21.2%로 상승했다. 이는 전체 제조업 대출 비중(17.3%)보다 높은 수치다.
이처럼 고위험 업종에 대한 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릴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타 은행들에 비해 건전성 관리가 우수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분기말 기준 부산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31%로 지난해말(0.34%) 대비 0.03%포인트 낮아졌다.
전체 여신규모가 8.1%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정이하여신 총액이 지난해 1분기 3309억원에서 1635억원으로 절반 가량 감소했다. 요주의여신의 규모 역시 4071억원에서 3602억원으로 11.5% 줄어들었다.
대구은행과 전북은행의 경우 각각 0.49%, 0.39%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을 기록했다. 대구은행은 중소기업대출을 26조5458억원에서 28조37억원으로 5.5% 늘리는데 그쳤으며 전북은행도 7조9503억원에서 8조1601억원으로 소폭 확대하는데 그쳤다.
유일하게 부산은행보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낮은 광주은행(0.27%)만이 부산은행과 같이 중소기업 대출을 10% 이상 늘릴 수 있었다. 광주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지난해 1분기 11조874억원에서 올해 1분기 11조5380억원으로 11.5% 증가했다.
부산은행의 건전성 개선은 대손충당금 전입액 축소로도 이어졌다. 부산은행의 1분기 충당금 전입액은 21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00억원) 대비 3.2%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대구은행의 경우 충당금 전입액이 314억원에서 423억원으로 34.7% 늘어났으며 전북은행도 103억원에서 124억원으로 증가했다. 광주은행 역시 43억원에서 137억원으로 늘렸다.
대손충당금 축소에도 부산은행의 NPL커버리지비율은 124.05%에서 251.09%로 127.04%포인트 개선됐다. NPL커버리지비율은 고정이하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액 비율로 금융사의 부실 감당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스바이오메딕스, PD '톱 데이터' 재확인 미국 3상 직행
- 'AUM 20조' 아치벤처파트너스, 'K-뷰티 의료기기' 주목
- 엠비디, 키야텍에 암 분석 플랫폼 L/O…'매출기반' 구축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개량신약' 중심 종근당, 녹내장약 '중단' 고혈압약 집중
- 에이비온의 '현금 마련' 전략, 자산처분에 투자유치까지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제일약품 체질 개선 이끈 온코닉, 확고해진 3세 승계 기반
- HLB생과 투톱 남상우·한용해, HLB 합병해도 '핵심인력'
- HLB, 합병 '재무실익' 글쎄 '리보세라닙' 가치 손상 관건
- HLB·HLB생명과학 합병, 리보세라닙 CRL 충격 극복 강수
- [한미약품그룹 리빌딩]지주 첫 CEO 김재교 부회장, '오픈이노베이션' 직접 챙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