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캐리소프트, 결국 좌절된 첫 '사업모델 요건' IPO[미래에셋]밸류 1000억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 실적부진으로 오히려 하락
남준우 기자공개 2022-07-26 07:56:34
[편집자주]
코스닥 특례상장 요건이 도입된 지 17년이 지났다. 몇 년 안에 획기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장밋빛 미래를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거래 정지를 당하거나 상장 폐지 얘기가 나오는 곳이 속속 등장하는 게 현실이다. 주관사는 시장 상황이 좋을 때 자격이 되지 않는 기업을 마구잡이로 상장시켜 놓고 높은 수수료만 챙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더벨은 특례 상장 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주관사별 역량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2년 07월 22일 11:0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의 첫 사업 모델 특례 상장 도전은 실패로 돌아간 분위기다. 캐리소프트로 야심차게 도전했다. 하지만 상장 후 실적을 내지 못하면서 기한 내에 주관사가 예상했던 몸값을 달성하지 못했다.캐리소프트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업 모델 요건 상장사의 실적과 주가흐름이 지지부진하고 있다. 주관사 뿐만 아니라 전문평가기관의 평가 역량에도 한계가 있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밴드 최상단 달성…700억 밸류로 상장
캐리소프트는 2019년 10월 기술성장 기업 특례 요건 중 '사업 모델 요건'을 활용해 코스닥에 상장했다. 바이오 기업 위주로 치중된 특례 상장 제도를 보완하는 취지에서 '기술'보다 '사업성' 항목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당장 수익성은 떨어지지만 높은 잠재력의 사업 모델을 갖춘 기업에 상장 기회를 주기 위해 2017년 도입한 제도다. 대표 주관 업무는 당시 미래에셋증권 IPO본부 소속 IPO1실이 담당했다.
사업모델 요건의 경우 외부 전문평가기관 두 곳으로부터 사전에 사업 모델을 평가받아야 한다. 캐리소프트는 한국기업데이터와 NICE평가정보로부터 약 1개월간 평가를 받았다. 두 평가기관은 KRX 사업평가등급을 각각 AA와 A로 부여했다.
주관사는 2016년부터 '캐리'로 통칭되는 콘텐츠와 브랜드를 기반으로 콘텐츠 IP 관련 사업의 성장성을 주목했다. 2017년부터 키즈카페 런칭과 중국 메이저 플랫폼사에 콘텐츠를 공급하며 광고수익이 증가했다. 별도기준 매출은 2016년 51억원, 2017년 62억원, 2018년 98억원을 기록하며 250%가 넘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에셋증권은 2021년 매출 300억원, 영업이익, 94억원, 순이익 73억원 등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2020~2021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기반으로 밸류에이션을 책정했다. 2년간의 추정 당기순이익을 당시 현가(39억원)로 계산해 유사회사 4곳의 평균 PER(23.5배)를 적용했다. 할인 전 기준으로 약 925억원의 밸류에이션을 매겼다.
수요예측 집계 결과 90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대부분 밴드 최상단에 주문 의사를 넣으면서 주당 9000원을 공모가로 확정했다. 29.3%가 할인된 약
700억원의 밸류에이션으로 코스닥에 데뷔했다.당장 수익성은 떨어지지만 높은 잠재력의 사업 모델을 갖춘 기업에 상장 기회를 주기 위해 2017년 도입한 제도다. 대표 주관 업무는 당시 미래에셋증권 IPO본부 소속 IPO1실이 담당했다.
사업모델 요건의 경우 외부 전문평가기관 두 곳으로부터 사전에 사업 모델을 평가받아야 한다. 캐리소프트는 한국기업데이터와 NICE평가정보로부터 약 1개월간 평가를 받았다. 두 평가기관은 KRX 사업평가등급을 각각 AA와 A로 부여했다.
주관사는 2016년부터 '캐리'로 통칭되는 콘텐츠와 브랜드를 기반으로 콘텐츠 IP 관련 사업의 성장성을 주목했다. 2017년부터 키즈카페 런칭과 중국 메이저 플랫폼사에 콘텐츠를 공급하며 광고수익이 증가했다. 별도기준 매출은 2016년 51억원, 2017년 62억원, 2018년 98억원을 기록하며 250%가 넘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에셋증권은 2021년 매출 300억원, 영업이익, 94억원, 순이익 73억원 등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2020~2021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기반으로 밸류에이션을 책정했다. 2년간의 추정 당기순이익을 당시 현가(39억원)로 계산해 유사회사 4곳의 평균 PER(23.5배)를 적용했다. 할인 전 기준으로 약 925억원의 밸류에이션을 매겼다.
수요예측 집계 결과 90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대부분 밴드 최상단에 주문 의사를 넣으면서 주당 9000원을 공모가로 확정했다. 29.3%가 할인된 약
◇전문평가기관 역량도 '지적'…시도하려는 곳 줄어드는 추세
예상대로라면 2021년 실적을 바탕으로 몸값이 1000억원까지 올라와야 하지만 미래에셋증권의 예측은 완전히 빗나갔다. 2020년 매출 35억원, 2021년 37억원을 기록하는 등 오히려 역성장했다. 2019년 16억원이었던 영업손실 규모는 2년간 각각 27억원, 24억원 등 오히려 커졌다. 작년말 별도기준으로 순손실은 25억원을 기록했다.
실적을 내지 못하면서 최근 캐리소프트의 주가는 약 7600원에 머물러 있다. 공모가 대비 약 15% 떨어지면서 시가총액은 약 500억원에 머물러 있다. 상장 이후 별도의 유상증자나 메자닌 보통주 전환 등이 없었기에 주식 수량 변동은 주가 변동의 변수가 아니다.
주관사 뿐만 아니라 전문평가기관의 사업 모델 평가 역량에도 한계가 있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22일 기준 사업 모델 요건으로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은 플리토, 캐리소프트, 엔비티, 와이더플래닛, 라이프시맨틱스 등이다.
시장이 우호적이었던 시기에 대부분 상장했으나 최근에는 시도하려는 곳 조차 없는 실정이다. 특히 사업 모델 요건 상자사의 실적이 지지부진하고 있다. IPO 때 제시한 흑자전환에 성공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몸값마저 떨어지자 투자자들도 아우성이다.
아직까지는 사례가 적기 때문에 좀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공유 경제 등 새로운 산업 부문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들의 상장 창구가 되고자 하는 것이 제도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반면 업계에서는 당분간 이 제도를 활용하는 사례를 찾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사업 모델을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애매모호하다"며 “실적도 안나오는 기업의 사업모델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은 주관사로서도 리스크가 너무 크며 최근 시장 상황을 보면 투자자를 모집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DB금투 밸류업 점검]"PIB로 '투자 플랫폼' 기업 도약한다"
- 한컴이노스트림, '도장 인식 시스템' 특허 취득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 '신생' 안랩클라우드메이트, 최우선 과제 '포트폴리오 강화'
- [저축은행 예보한도 상향 여파]예보료율 인상 따른 비용 부담 확대 '우려'
- [JB금융 김기홍 체제 3기]후계자 준비 본격화…계열사 CEO 인선 촉각
- [저축은행 예보한도 상향 여파]'머니무브 효과' 수월해진 자금 유치…조달 개선 기대
- 나우어데이즈 신곡 '렛츠기릿', 주요 음원차트 진입
- [JB금융 김기홍 체제 3기]임추위 마음 사로잡은 '성장스토리 시즌2' 프리젠테이션
- 유연성·독립성 갖춘 코웨이 코디, 시공간 제약 없어 'N잡' 가능 눈길
- [SGI서울보증 IPO 돋보기]기한 내에서 최대한 신중히...예보도 팔 걷었다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MI 포럼 2024]"승계 고민 깊어지는 PE들, LP 신뢰 유지 집중해야"
- [PMI 포럼 2024]"새로운 장 열리는 인도네시아, 투자 매력 높아진다"
- '실탄 5000억이 기준' 파라투스·골든루트, 호산테크 매각 IM 배포 시작
- '코아비스 매각 삼수' 한앤코, 해외 SI 주시하는 이유는
- '2차 클로징' MBK, 6호 펀드에 7조 몰렸다
- [2024 이사회 평가]새 주인 맞는 한온시스템, 이사회 어떻게 변할까
- [2024 이사회 평가]'막강한 오너 영향력' 신성델타테크, 이사회 '유명무실'
- 크레센도, HPSP '경영권 프리미엄 최소 30%' 전망 근거는
- '대형항공사 구상' 대명소노그룹, 3조 선수금 활용할까
- [2024 이사회 평가]'베인캐피탈이 품은' 클래시스, 아쉬운 '주주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