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모니터]오에스피, '독보적 기술력→B2B 장악' 밸류 핵심OEM 계약, 100% ODM 전환…3년간 매출 성장률 5%, 우진비앤지 인수 때보다 밸류 4배↑
남준우 기자공개 2022-08-29 07:18:14
이 기사는 2022년 08월 25일 15:5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오에스피(대표이사 강재구)가 국내 펫푸드 제조업체 최초로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 작년에 IPO를 자진 철회한 후 약 1년 만의 재도전이다. 당시 매출 추이를 좀 더 지켜보고 외형을 키운 후 재도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었다.1년 사이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ODM(주문자 개발생산)으로 100% 전환하는 등 B2B 시장을 장악했다. 다만 아직 매출 성장세가 가파르지는 않다. 주관사와 논의 끝에 책정한 밸류에이션을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 지 주목된다.
◇IPO 밸류에이션 최대 약 800억 예상

주관사인 대신증권과 논의 끝에 지난 4월 청구서를 제출한 후 약 4개월 만에 심사 승인을 받았다. 예비심사 청구서에 따르면 공모 예정 주식 수는 205만6000주로 상장 예정 주식 수(934만6160주)의 22%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오에스피의 밸류에이션은 최대 약 800억원으로 예상된다. 공모가밴드는 주당 '6300~8400원'이다. 공모 예정 주식 수와 상장 예정 주식 수를 대입하면 공모금액은 '129억~173억원', 밸류에이션은 '539억~785억원'이다.
코스닥 상장사 우진비앤지가 2019년 인수했던 금액보다 4~5배 가량 높다. 우진비앤지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10월 오에스피 지분 57.57%(398만2320주)을 약 140억원에 매입했다.
자신감이 반영됐다. 기존에 진행하던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 사업이 성장을 이어가더니 최근에는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100% ODM(주문자 개발생산)으로 전환했다. 하청업체로서 생산만 발주받던 수준에서 벗어나 직접 연구·개발까지 하는 수준으로 올라섰다는 의미다.
◇1위 로얄캐닌과 격차 줄이기가 과제

펫푸드 시장에서 대표적인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 기업인 만큼 안정적인 실적을 내고 있다. 내츄럴 시그내쳐(Natural SIGNATURE)라는 자사 브랜드가 있다. 하지만 우리와, 카길애그리퓨리나, 사조동아원 등 국내 수위의 펫푸드 업체에 제공하는 OEM 비중이 더 컸다.
최근에는 100% ODM으로 전환했다. 진입 장벽이 높은 유기농 반려동물 사료 시장에서 원료, 배합,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우리와 등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풀무원 자회사인 씨에이에프와도 ODM 계약을 체결했다.
다만 최근 3년간 추이만 놓고 보면 아직 획기적인 성장세는 없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오에스피는 작년에 매출 156억원, 영업이익 28억원을 기록했다. 2020년과 비교했을 때 매출(155억원)은 약 1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약 30% 감소했다. 2019년과 비교했을 때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률은 각각 약 5%, 약 27%다.
1위 업체와의 격차가 아직 크다는 점도 과제다. 현재 국내 펫푸드 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업체는 '로얄 캐닌(Royal Canin)'이다. 프랑스 아이마그에 본사를 둔 업체로 현재 한국법인 '로얄캐닌코리아'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 활동 중이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로얄캐닌코리아는 2021년 매출 2092억원, 영업이익 317억원을 기록했다. 2020년 대비 매출(1568억원)은 33.4%, 영업이익(231억원)은 37.2%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68억원에서 225억원으로 뛰었다.
오에스피 관계자는 "자체 기술력 덕분에 최근 OEM 계약을 100% ODM으로 전환하는 등 B2B 시장에서의 높은 인지도가 회사의 강점"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금융 차기 리더는]중량감 넘치는 숏리스트 4인방 ‘이원덕·신현석·이동연·임종룡’
- 'BBB' HL D&I, 공모채 발행 추진…금리 메리트 앞세워
- 코리아에너지터미널 공모채 '4650억' 수요 몰렸다
- SK인천석화, A급 회사채 온기 이어갈까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LS그룹]전방위 지원 10년…LS아이앤디는 ‘밑 빠진 독’일까
- 롯데하이마트, 가까스로 완판 '절반의 성공'
- KB금융, 금리 메리트에 신종자본증권 '흥행'
- 세토피아, 친환경 첨단 소재 진출 기반 마련
- 팹리스 '리벨리온' 행보에 거는 기대
- [블록체인산업 ESG 혁신]람다256 루니버스, PoA 기반 저탄소 블록체인 앞장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연초효과 노린 키움증권, 차입 만기 '장기화'한다
- 슈어소프트테크, 국내 스팩 합병 이정표 세운다
- [IPO 모니터]에이피알, '확실한 숫자' 확보하고 IPO 정조준
- [스팩 발기인 분석]미래에셋비전스팩3호, 든든한 '동업자' 얻었다
- [플랫폼 IPO 회계 점검]런드리고, 커지는 '운반비' 멀어지는 '손익분기점'
- [IPO 모니터]오아시스, 고심끝 내놓은 기업가치 방정식 'EV/Sales'
- [IPO 모니터]나노팀, 장밋빛 '추정 실적' 맞아떨어질까
- 키움증권, 계묘년 IPO 주관 '기업금융1팀'에 달렸다
- 현대제철 공모채 흥행 일등공신 '국민연금'
- [IPO 모니터]1호 엑셀러레이터 IPO 블루포인트, 밸류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