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12월 16일 11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광무'가 관리종목에서 탈피했다고 16일 밝혔다. 앞으로는 2차전지 사업 역량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겠다는 포부다.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 12일 광무의 소속부를 관리종목에서 중견기업부로 변경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이 개정되면서 4년 연속 영업손실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 제도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광무가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던 이유는 장기 영업손실 때문이었다. 주력 사업인 네트워크사업부가 2018년부터 업황 침체로 적자를 면치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상장규정이 변하면서 약 8개월 만에 관리종목 꼬리표를 떼게 됐다.
광무 내부에서는 다소 김이 샜다는 반응이다.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한 2차전지 사업이 호조를 보이고 있어서다. 내년 3월 실적 턴어라운드를 통해 자력으로도 충분히 관리종목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는 자신감이다.

실제로 광무의 2차전지사업부가 지난달 말까지 올린 누적 수주 금액은 총 522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매출액보다 176% 많은 금액이다. 수익성 역시 3분기 누적 기준 흑자로 돌아선 상황이었다.
광무는 현재 리튬염 유통 사업을 하고 있다. 리튬염은 2차전지 필수소재인 양극재와 전해액에 투입되는 원재료다. 사업을 집중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리튬염 글로벌 유통 태스크포스(TF)까지 꾸린 상태다.
앞으로는 2차전지 소재 개발-생산-유통이라는 수직계열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엔켐을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과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2차전지 소재 생산능력을 갖춘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까지 고려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옵트론텍, 600% 상회하던 부채비율 158%로
- [i-point]옵트론텍 "강모씨 파산신청 법원이 기각"
- [i-point]케이쓰리아이, 호남권 유일 4K 돔영상관 구축
- [i-point]제일엠앤에스, 최대 매출 달성에도 적자 전환
- [김화진칼럼]이사회 구성의 다양성 폐기
- 국세청, 코빗·업비트 세무조사 착수…코인 업계 '긴장'
- [Red & Blue]JR에너지 맞손잡은 유진테크놀로지, 장비사업 기대감
- 김동명 LG엔솔 사장 "트럼프 변수 대비한 기업이 승자"
- 엘앤에프, 미국 LFP 투자 본격 검토…CFO 현지 출장
- 최수안 엘앤에프 부회장 "미국 LFP 투자, 자금 조달 방식 검토"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바닥 찍은 게임주]주주 신뢰 회복한 티쓰리, 남은 숙제 '신작 흥행'
- [바닥 찍은 게임주]'1/10 토막' 조이시티 주가, 야심작 통한 반등 가능할까
- CB 털어낸 컴투스홀딩스, 차입금 부담 확 낮췄다
- [바닥 찍은 게임주]'4년 내리막길' 웹젠, 풍부한 자기자본이 오히려 발목
- [IR Briefing]4조 매출 찍은 넥슨, 성장 고삐 더 죈다
- [Company Watch]이정헌 넥슨 대표, 'ROE 개선' 약속 지켰다
- [Company Watch]'지주사' 컴투스홀딩스, 손실 확대에도 '현금흐름 이상 무'
- [IR Briefing]컴투스, 신사업 내려놓자 다시 '흑자'
- [Earnings & Consensus]'창업주의 힘' 위메이드, 박관호 체제 대성공
- [바닥 찍은 게임주]100만원 육박했던 엔씨소프트, '10만원대 꼬리표' 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