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캐시카우' 비게임 부문 투자 강화 세나테크놀로지에 200억 공급…등락 큰 게임매출 안전망
황원지 기자공개 2023-01-03 13:16:42
이 기사는 2022년 12월 30일 14:0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게임즈가 또 다른 캐시카우인 비게임 부문 투자를 강화한다. 무선통신기기를 만드는 자회사 세나테크놀로지에 200억원을 빌려줬다. 카카오게임즈는 세나테크놀로지와 카카오VX 등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는 비게임 부문으로 전체 매출의 3분의 1에 달하는 쏠쏠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세나테크놀로지는 이번 대여금으로 신기술 개발에 투자한다. 스마트 헬멧 등 스포츠 분야 무선통신기기를 개발하는 회사로, 해당 분야에서 세계 점유율 60%를 기록하고 있다. 골프사업을 진행하는 카카오VX와 협업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의 교두보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
◇200억 공급해 비게임 부문 강화…출렁이는 게임매출 안전망
카카오게임즈는 지난 28일 이사회를 열고 자회사 세나테크놀로지에 200억원의 자금을 대여한다고 밝혔다. 거래일자는 2023년 1월 10일로 1년이다. 이자율은 4.6%, 만기일은 2024년 1월 10일이다.
자회사 재무상황 개선보다 비게임 부문 투자를 강화에 방점이 찍혀있다. 통상 게임사들이 자회사에게 자금을 대여할 땐 재무사정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개발 자회사들의 신작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돈이 필요하거나 수익이 없어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을 때다. 유상증자 혹은 대여금 형태로 유동성을 공급한다.
반면 세나테크놀로지의 경우 재무상태가 건전하다. 올 3분기까지 총 매출 1378억원으로 매 분기 약 400억~500억원의 매출을 올려 왔다. 작년 7월 인수시점부터 12월까지 약 480억원 매출을 올린 걸 고려하면 실적 개선세가 크다. 지난해 세나테크놀로지 인수 당시 카카오게임즈가 지급한 영업권 660억원의 상각도 아직 없다. 재무문제로 인한 수혈은 아닌 셈이다.

비게임 부문 투자 강화 행보로 읽혀진다. 카카오게임즈는 퍼블리셔(게임유통 사업자)가 주요 사업이라 게임부문 실적의 매출 등락폭이 크다. 그때 그때 퍼블리싱 하는 게임 실적에 좌우되는 데다 히트하더라도 타사 게임인 경우 퍼블리싱 계약이 종료되면 매출도 끝난다.
때문에 비게임 부문 투자를 통해 매출을 다각화해 왔다. 지난 3분기 카카오VX와 세나테크놀로지를 합친 카카오게임즈 비게임(기타) 부문 매출은 966억원으로 전체(3069억원)의 31%에 달했다. 세나테크노로지 인수 전인 2021년 2분기 기타매출 비중이 20% 정도에 불과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중이 대폭 늘었다. 비게임 부문 다각화로 게임부문 매출 등락을 받치고 있는 셈이다.
◇스마트헬멧 등 웨어러블 기기 제작…게이미피케이션 교두보 역할
카카오게임즈 측은 이번 자금 대여에 대해 "신기술 개발 투자를 위해 결정했다"면서도 "자세한 내용은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세나테크놀로지는 자전거와 모터사이클, 스키 등 스포츠용 무선통신기기와 스마트헬멧을 생산하는 회사다. 미국, 독일, 프랑스 등 해외에 진출해 글로벌 시장점유율 60%를 확보하고 있다. 전 세계 97개국, 3050개의 전문 유통망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인수 당시 카카오게임즈의 게이미피케이션 교두보 역할을 맡기로 했다. 남궁훈 전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세나테크놀로지 인수는 스포츠 영역 확장의 의미에서 상징하는 바가 크다"며 "카카오VX의 골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로 확대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카카오VX의 스포츠, 헬스케어 등의 서비스와 연결해 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증권, 후순위채 증액 성공…1200억 자본 확충
- SK텔레콤, 신종자본증권 2배 수요 모았다
- '2차전지 뜨겁네' 동화일렉트로라이트, 1200억 프리IPO 성료
- [넘버원 K-가전 기술]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 시프트업, 밸류업 무기는 '콘솔 신작'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일본 반도체 거점 늘리는 삼성전자, 세 가지 쟁점 보니
- [글로벌 빅테크와 기울어진 운동장]최초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규제 우회에 '유명무실'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베트남 IT 교육 선점…이제는 B2B로 눈 돌린다"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웰컴운용, 본부장급 인력 연달아 영입…기관자금 노린다
- [운용사 배당 분석]프라핏운용, 적자전환에 무배당 결정
- [운용사 배당 분석]신영운용 내실 다지기, 2년 연속 무배당 결정
- 규제개편에 하이일드 다시 빛보나…운용사 준비 분주
- 'NPL 강자' 아이파트너스, 펀드 신규 설정 릴레이
- 라이프운용, ESG 전략 통했다…올해만 1500억 뭉칫돈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한투밸류, 네오위즈·아프리카TV에 배당 확대 촉구
- 히스토리자문,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8년째 흑자행진
- 다변화 노리는 웰컴운용, 이강국 주식본부장 영입
- 페블스톤운용, 여주가남물류센터 매입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