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차기 리더는]명예 회복한 부산은행, 숏리스트 3명 중 2명 배출2017년엔 3인 후보군서 배제…'빈대인·안감찬' 전현직 행장 경쟁
최필우 기자공개 2023-01-16 08:15:28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3일 10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NK금융그룹 모태인 부산은행이 2명의 전현직 행장을 회장 후보 숏리스트에 포함시키면서 명예를 회복했다. 2017년엔 행장을 겸하던 회장의 구속 사태 여파로 3인의 후보군에서 부산은행장이 배제된 바 있다. 이후 조직 안팎에서 신망을 받는 안정감 있는 리더를 육성하는데 성공했다는 평이다.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과 안감찬 부산은행장을 3인으로 구성된 회장 후보 숏리스트에 포함시켰다. 빈 전 행장은 2017년 4월 행장 직무대행을 맡았고 2017년 9월 행장에 취임해 2021년 3월까지 재직했다. 안 행장은 빈 전 행장에게 배턴을 이어 받아 행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외부 출신인 김지완 전 BNK금융 회장 취임 전만 해도 부산은행장이 아닌 회장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이장호 전 회장은 부산은행장으로 재직하다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를 출범시키며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 그는 취임 후 한동안 회장과 행장직을 겸했다. 성세환 전 회장도 재직 기간 회장, 행장 직을 유지했다.
이후 한 인물에게 권력이 집중된 지배구조는 큰 파장을 낳았다. 성 전 회장이 2017년 구속되고 사퇴하면서 회장과 행장 자리가 동시에 비게 됐다. 전임 행장도 이미 퇴진한 이 전 회장이어서 차기 회장에 부산은행장 후보를 낼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당시 부산은행은 공개 모집으로 진행된 회장 선임에 다양한 후보를 냈으나 행장을 지낸 인물은 없었다. 회장 대행이었던 박재경 전 BNK금융지주 사장, 행장 대행을 맡고 있던 빈 전 행장, 오남환 전 부산은행 부행장, 임영록 전 BNK금융지주 부사장, 정재영 전 부산은행 수석부행장 등이 전현직 임원으로 출사표를 냈다.
당시 최종 후보 3인은 박 전 사장, 김 전 회장, 정민주 전 BNK금융경제연구소 대표로 정해졌다. 박 전 사장은 행장 출신이 아닌 탓에 무게감 측면에서 한계가 뚜렷했고 결국 외부 출신인 김 전 회장 취임으로 이어졌다. 김 전 회장이 연임했던 2020년 빈 전 행장이 숏리스트에 포함되긴 했으나 계열사 사장 자격이었다.
빈 전 행장은 직무대행과 행장 임기를 보내면서 BNK금융과 지역 사회에서 리더십을 인정 받았다. 그는 이 전 회장의 비서팀장으로 근무하던 시절부터 계파 갈등을 중재하고 조직 문화를 개선하는 역할을 했다. 과거에 비해 BNK금융 내 학벌주의가 옅어진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숏리스트에 들었다.
안 행장도 조직 내에서 신뢰를 받는 리더다. 2017년 경영기획본부장으로 행장 공백 사태에 있던 부산은행을 이끌었던 주역 중 한명이다. 행장에 취임한 후에는 안정적인 실적 개선을 이끌었고 자본적정성 등 주요도 준수하게 관리했다. 현직 행장으로 재임 기간 결격 사유가 없었다는 점에서 숏리스트에 들기 충분했다.
BNK금융 관계자는 "빈대인 전 행장과 안감찬 행장 모두 구성원들에게 호평받는 리더들"이라며 "부산은행장 재직 기간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끈 게 좋은 평가를 받지 않았겠나"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내부통제 실패하면 총점의 40% 감점한다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최대 배점' 재무지표, 건전성·수익성 전략 변화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기업금융 명가 재건' 올해 숨고르기 이어간다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정진완 행장 '개인·중기' 고객 증대에 영업력 집중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건소위 편입 승인 논의 본격화, 관건은 '내부통제 개선'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고객 중심' 진옥동 회장 경영 철학 KPI에 녹였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효율화 대상' 자산감축 배점 확대, 건전성 관리 '고삐'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 [상호관세 후폭풍]RWA 조이는 금융지주, 비은행 반등 멀어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