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텀점프 2023]SAMG엔터, IP의존 탈피 '키즈문화 플랫폼'으로 진화①이모션캐슬 브랜드 런칭, 강력한 IP 기반 MD 카테고리 확장·라이브&파크 사업 확대
조영갑 기자공개 2023-01-26 08:07:14
[편집자주]
새해는 중소·중견기업에 생존의 시험대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시장 경쟁을 이겨내고 새로운 먹거리도 발굴해야 한다. 사업 계획이 성과의 절반이라는 말도 나온다. 연초 사업 계획 구상에 전사적 역량을 쏟는 이유다. 새로운 도약대를 찾아 퀀텀점프를 꿈꾸는 기업들의 치열한 고민과 열정의 목소리를 현장에서 직접 듣고 미래 청사진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0일 10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자님은 한창 때 자녀 분에게 장난감을 얼마나 자주 사주셨어요?"지난 19일 SAMG엔터테인먼트(SAMG엔터) 본사를 찾았을 때 최재원 부사장(사업총괄본부장)은 기자에게 개인적인 질문으로 서두를 뗐다. 완구 구매의 빈도와 패턴을 묻는 질문이다. 머뭇거리자 최 부사장은 스스로 답했다. "아마 한 달에 한 번을 넘지 않았을 겁니다."

SAMG엔터의 올해 화두는 지속성(sustainability)과 확장성(expansion)이다. 이른바 '지속가능한 확장'을 하겠다는 게 전사의 모토다. 최 부사장은 "생각해보라. 미키와 키티 같은 IP는 애니메이션의 흥행 여부와 관계 없이 사람들의 삶 곳곳에 침투해 지속적으로 엄청난 매출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키즈 IP 콘텐츠를 토대로 하되, IP의 흥행과 관계 없이 확장이 가능한 '키즈 익스피어런스 플랫폼(Kids Experience Platform)'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자신감은 강력한 IP의 힘에서 나온다. 글로벌 팬덤을 보유한 SAMG엔터 IP의 저력은 각종 지표로 입증된다. '캐치!티니핑'이 국내 여아 애니메이션, 완구 시장 1위(시청률 및 판매고)를 기록한 데 이어 글로벌 최대 시장인 중국 주요 OTT(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콘텐츠 순위 1위, 완구 판매 순위 1위를 차지했다. 남아 애니메이션 간판 IP인 미니특공대 시리즈 역시 유튜부 전체 구독자 1400만 명, 중국 누적 뷰 270억 뷰을 돌파했다. 동아시아 일대에 넓고, 견고한 팬덤층을 확보하고 있다.
SAMG엔터는 회사의 성장을 견인한 IP 및 완구사업을 바탕으로 올해 MD 카테고리를 대폭 확장한다. 이 과정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플랫폼이 '이모션캐슬(Emotion castle)'이다. 이모션캐슬은 패션잡화, F&B(식음료), 라이브파크 등 모든 IP 경험을 망라하는 SAMG엔터 식 '디즈니월드'다. 국내외 아이들이 이모션캐슬을 통해 SAMG엔터의 콘텐츠를 '보고, 먹고 마시고, 배우며 경험하는' 장을 마련하겠다는 포부다.
최 부사장은 "지난해 이모션캐슬 브랜드를 만들고 주요 백화점, 아울렛과 아동복 및 굿즈 직영 매장 계약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팝업 매장은 이미 진행하고 있는데 캐치!티니핑 팬덤층을 중심으로 반응이 폭발적"이라고 말했다. 올해 최대 20여 곳의 매장을 오픈 계획 중에 있으며, 이어 과자, 젤리, 아이스크림, 캔디통, 김 등의 식품군으로 영역을 확대한다.

지난해 12월 용산 아이파크몰에 '이모션캐슬 로열부티크'를 개관한 데 이어 5월 제주도에 미디어 체험 공간을 오픈한다. 로열부티크는 캐치!티니핑 등 대표 IP 콘텐츠에 등장하는 드레스, 왕관, 메이크업을 체험하게 해주는 럭셔리 브랜드샵 개념이다. 7월 오픈 예정인 과천 이모션캐슬 테마파크는 3000평 규모의 초대형 인도어(Indoor) 파크다. 실제로 구현된 캐치!티니핑 마을에서 뛰어 놀고, 미니특공대 XR(확장현실) 콘텐츠로 악당과 싸우는 식이다. 총 1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최 부사장은 "IP 자체의 의존성에서 벗어나 일상적인 키즈 문화의 영역으로 광범위하게 스며드는 게 목표"라면서 "올해는 이모션캐슬의 국내 브랜딩 및 마케팅을 완비하고, 내년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삼쩜삼, 가입자 2300만명 돌파…성과와 과제
- 'K콘텐츠전략펀드' GP 2곳 선정 그쳐…재공고 예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